본문 바로가기
국가직 한국사/2021

2021년 국가직 9급 공무원 한국사('나'책형)_6~10번 풀이

by 데일리히스토리 2023. 1. 8.
반응형

6. (가) 시기에 신라에서 있었던 사실은?

웅진 천도는 475년사비 천도는 538년의 일입니다. 즉, (가) 시기는 5세기 후반~6세기 중반 사이입니다. 이 시기 신라의 왕은 자비 마립간, 소지 마립간, 지증왕, 법흥왕입니다. 

① 대가야를 정복하였다.

→ 562년(대가야는 신라 진흥왕 때인 562년에 정복되었습니다)

② 황초령순수비를 세웠다.

→ 568년(황초령 순수비는 신라 진흥왕은 한반도 북부까지 진출한 후 568년에 세운 비석입니다)

③ 거칠부가 『국사』를 편찬하였다.

→ 545년(『국사』는 신라 진흥왕 때인 545년에 거칠부를 시켜 편찬한 역사서입니다)

④ 이차돈의 순교를 계기로 불교가 공인되었다.

→ 527년(신라 법흥왕 때인 527년에 이차돈의 순교를 계기로 불교를 공인하였습니다) 

정답은 ④입니다. 


7. 시기별 대외 교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백제: 노리사치계가 일본에 불경과 불상을 전하였다.

→ O(백제 성왕 때 노리사치계가 일본에 불상과 불경을 전달하였습니다)

② 통일신라: 장보고가 청해진을 설치하여 해상권을 장악하였다.

→ O(통일 신라 흥덕왕 때 장보고가 지금의 완도에 청해진을 설치하여 해상권을 장악하였습니다)

③ 고려: 예성강 하구의 벽란도가 국제항으로 번성하였다.

→ O(고려 시대에는 예성강 하구의 벽란도가 국제 무역항으로 번성하였습니다)

④ 조선: 명과의 교류에서 중강개시와 책문후시가 전개되었다.

→ X(조선이 중강 개시와 책문 후시를 통해 무역을 전개한 국가는 청입니다)

정답은 ④입니다. 

 

8. 우리나라 세계유산과 세계기록유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ㄱ. 공주 송산리 고분군에는 전축분인 6호분과 무령왕릉이 있다.

→ O(공주 송산리 고분군은 백제 웅진 시기의 무덤군입니다. 유네스코 세계 유산 중 백제 역사 유적 지구에 공주 송산리 고분군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송산리 6호분은 남조의 영향을 받은 벽돌무덤(전축분)이고, 송산리 7호분은 무령왕릉으로 잘 알려진 고분입니다)

ㄴ. 양산 통도사는 금강계단 불사리탑이 있는 삼보 사찰이다.

→ O(양산 통도사는 우리나라의 삼보 사찰 중 하나로, 유네스코 세계 유산에 등재된 산사, 한국의 산지 승원 중 하나입니다. 통도사의 대웅전 바로 뒤쪽에 금강계단 불사리탑이 있습니다) 

ㄷ. 남한산성은 병자호란 때 인조가 피난했던 산성이다.

→ O(남한산성은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병자호란 때 인조가 피난했던 산성입니다)

ㄹ. 『승정원일기』는 역대 왕의 훌륭한 언행을 『실록』에서 뽑아 만든 사서이다.

→ X(『승정원일기』는 유네스코 세계 기록유산이 맞지만 역대 왕의 훌륭한 언행을 『실록』에서 뽑아 만든 사서는 『국조보감』입니다)

정답은 ㄱ, ㄴ, ㄷ로, ③입니다. 

 

9. 다음은 발해 수도에 대한 답사 계획이다. 각 수도에 소재하는 유적에 대한 탐구 내용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굉장히 당황스러운 문제 중 하나였습니다. 지금까지의 공무원 시험에서는 볼 수 없었던 처음 보는 출제 유형인데다가 문제 자체도 너무 생소했거든요. 저 또한 굉장히 당황했는데, 정답 찾는 것은 생각보다 어렵지는 않았습니다. 

우선 ㉠~㉣ 지명이 생소한데, 발해가 여러 차례 수도를 옮겼다는 것은 다 아실 거예요. 우리에게 익숙한 지명으로 바꿔보면  동모산 기슭(돈화), ㉡ 중경 현덕부(화룡), ㉢ 상경 용천부(영안), ㉣ 동경 용원부(훈춘)입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발해사 공부할 때 중경 → 상경 → 동경 → 상경으로의 천도 과정을 약간 공식처럼 외우고 있어서 각 지명을 제가 외우고 있던 천도 내용에 대입하여 풀어보았습니다!

㉠ 정효공주 무덤을 찾아 벽화에 그려진 인물들의 복식을 탐구한다.

→ X(정혜 공주 묘, 정효 공주 묘는 발해사 공부할 때 세세한 부분까지 알고 있어야 하는 부분이죠. 정효 공주 묘는 용두산 고분군에 있고, 당과 고구려 양식이 결합된 벽돌무덤입니다. 용두산 고분군은 중경 현덕부에 있기 때문에 ㉠이 아니고 ㉡입니다) 

㉡ 용두산 고분군을 찾아 벽돌무덤의 특징을 탐구한다. 

→ O(용두산 고분군은 중경 현덕부에 있는데, 대표적인 무덤으로는 정효 공주 묘가 있습니다)

㉢ 오봉루 성문터를 찾아 성의 구조를 당의 장안성과 비교해본다. 

→ O(오봉루는 생소하지만 당의 장안성과 비교해본다는 내용에서 바로 상경성임을 알 수 있습니다. 상경성은 당의 수도인 장안을 본떠 건설된 도시로, 남북으로 넓은 주작대로가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 정혜공주 무덤을 찾아 고구려 무덤과의 계승성을 탐구한다. 

→ X(정혜 공주 묘는 육정산 고분군에 있고, 고구려의 양식을 계승한 굴식 돌방무덤입니다. 육정산 고분군은 발해가 세워졌던 동모산 기슭에 있기 때문에 ㉣이 아니고 ㉠입니다. 저는 이 문제를 풀 때 ㉠, ㉣이 틀린 내용인 것을 바로 알았습니다. 정혜 공주가 더 먼저 죽은데다 고구려 양식을 계승하였기 때문에 초창기의 수도에 있었고, 정효 공주는 정혜 공주보다는 나중에 죽었고, 당의 양식도 반영되었기 때문에 이후의 수도에 있었으므로 각각의 위치가 잘못 되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그래서 생각보다 쉽게 정답을 고를 수 있었어요) 

정답은 ㉡, ㉢으로, ③입니다. 

 

10. 다음 상소문을 올린 왕대에 있었던 사실은?

유교가 현생과 가까운데 더 먼 불교를 숭상하는 건 잘못되었다고 말하는 것을 통해 제시된 상소문이 최승로의 시무 28조임을 알 수 있습니다. 최승로는 고려 성종에게 시무 28조를 올렸습니다. 

① 양경과 12목에 상평창을 설치하였다.

→ 성종(고려 성종 때 개경, 성경의 양경과 12목에 물가 조절 기구인 상평창을 설치하였습니다)

② 균여를 귀법사 주지로 삼아 불교를 정비하였다.

→ 광종(균여를 귀법사 주지로 삼아 화엄종을 재정비한 왕은 고려 광종입니다)

③ 국자감에 7재를 두어 관학을 부흥하고자 하였다.

→ 예종(국자감에 최충의 9재 학당을 모방한 전문 강좌인 7재를 설치한 왕은 고려 예종입니다)

④ 전지(田地)와 시지(柴地)를 지급하는 경정 전시과를 실시하였다.

→ 문종(전지와 시지를 현직 관료에게만 지급하고, 무반에 대한 차별 대우를 없앤 경정 전시과를 실시한 왕은 고려 문종입니다)

정답은 ①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