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가직 한국사/2021

2021년 국가직 9급 공무원 한국사('나'책형)_1~5번 풀이

by 데일리히스토리 2023. 1. 8.
반응형

1. 다음 시가를 지은 왕의 재위 기간에 있었던 사실은?

제시문은 고구려 유리왕의 「황조가」입니다. 공무원 준비를 하시는 분들은 국어, 영어, 한국사가 필수 과목이니 바로 어떤 시가였는지 아셨을 것 같아요. 유리왕은 단독 문제로 잘 출제되지 않는데 ‘나’ 책형 받으셨던 분은 1번부터 당황하셨을 수도 있을 거 같아요. 그런데 문제 자체는 어렵지 않았습니다! 유리왕은 동명성왕(주몽)의 아들로 고구려 제2대 왕으로 즉위하였습니다. 

① 진대법을 시행하였다.

→ 고국천왕(을파소의 건의에 따라 빈민을 구제하기 위한 진대법을 시행한 왕은 고구려 고국천왕입니다)

② 낙랑군을 축출하였다.

→ 미천왕(낙랑군을 축출하여 대동강 유역을 확보한 왕은 고구려 미천왕입니다)

③ 졸본에서 국내성으로 천도하였다.

→ 유리왕(고구려는 유리왕 때 졸본에서 국내성으로 천도하였습니다)

④ 율령을 반포하여 중앙집권 체제를 강화하였다.

→ 소수림왕(고구려 왕 중 율령을 반포한 왕은 소수림왕입니다. 참고로 백제는 고이왕, 신라는 법흥왕 때 율령을 반포하였습니다)

정답은 ③입니다. 

 

2. 밑줄 친 ‘유학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주세붕, 백운동 서원을 통해 밑줄 친 ‘유학자’가 안향임을 알 수 있습니다. 백운동 서원은 주세붕이 세운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으로 고려 시대의 유학자인 안향을 모시기 위해 설립된 것이었습니다.

① 해주향약을 보급하였다.

→ 이이(해주 향약을 보급한 인물은 이이입니다)

② 원 간섭기에 성리학을 국내로 소개하였다.

→ 안향(원 간섭기인 충렬왕 때 안향이 국내에 성리학을 소개하였습니다)

③ 『성학십도』를 저술하여 경연에서 강의하였다.

→ 이황(군주 스스로 노력하여 성학을 따라야 한다는 내용을 담은 『성학십도』를 저술한 인물은 이황입니다)

④ 일본의 동정을 담은 『해동제국기』를 저술하였다.

→ 신숙주(세종 때 일본을 다녀온 신숙주가 성종 때 일본의 동정을 담은 『해동제국기』를 저술하였습니다)

정답은 ②입니다. 


3. 밑줄 친 ‘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탑골 공원, 경천사 10층 석탑의 영향을 받았다는 것을 통해 밑줄 친 ‘왕’이 조선 세조임을 알 수 있습니다. 탑공 공원에 있는 원각사지 10층 석탑은 고려 경천사 10층 석탑의 영향을 받아 세조 때 건립되었습니다. 

① 우리나라 전쟁사를 정리한 『동국병감』을 편찬하였다.

→ 문종(고조선~고려 말까지의 전쟁사를 정리한 『동국병감』은 조선 문종 때 편찬되었습니다)

② 우리나라 역대 문장의 정수를 모은 『동문선』을 편찬하였다.

→ 성종(삼국~조선 초까지의 시와 산문 중 뛰어난 작품을 모은 『동문선』은 조선 성종 때 편찬되었습니다)

③ 6조 직계제를 실시하여 국왕 중심의 정치체제를 구축하였다.

→ 세조(조선 시대에 6조 직계제는 태종, 세조 때 실시되었습니다)

④ 한양으로 다시 천도하면서 이궁인 창덕궁을 창건하였다.

→ 태종(한양으로 다시 천도하면서 창덕궁을 창건한 왕은 조선 태종입니다. 참고로 창덕궁은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있습니다)

정답은 ③입니다. 

 

4. (가)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능력 있는 사람을 천거한다는 것, 현량과를 통해 (가) 인물이 조광조임을 알 수 있습니다. 중종은 훈구를 견제하기 위해 조광조 등의 사림을 등용하였는데, 조광조는 신진 사람을 등용하기 위해 일종의 추천제인 현량과를 실시하였습니다. 

① 기묘사화로 탄압받았다.

→ 조광조(조광조가 위훈 삭제 등 급진적인 개혁을 추진하려고 하자 훈구가 반발하였고, 이에 기묘사화가 일어났습니다. 이때 조광조와 대부분의 사림이 제거되었습니다) 

② 조의제문을 사초에 실었다.

→ 김일손(세조의 왕위 찬탈을 비판하는 김종직의 조의제문을 사초에 실은 인물은 김일손입니다. 이를 계기로 무오사화가 일어났습니다)

③ 문정왕후의 수렴청정을 지지하였다.

→ 윤원형(명종이 어린 나이에 즉위하자 명종의 모후인 문정 왕후가 수렴청정을 하였습니다. 이를 지지한 인물은 명종의 외척인 소윤으로, 대표적인 인물로는 윤원형 등이 있습니다)

④ 연산군의 생모 윤씨를 폐비하는 데 동조하였다.

→ 한명회 등(연산군의 생모인 폐비 윤씨 사건에는 한명회 등의 훈구 세력이 가담했습니다)

정답은 ①입니다. 

 

5. 신석기시대 유적과 유물을 바르게 연결한 것만을 모두 고르면?

우리나라에는 기원전 8000년경부터 신석기 시대가 시작되었습니다. 

ㄱ. 양양 오산리 유적-덧무늬토기

→ O(양양 오산리 유적은 우리나라의 신석기 시대 유적지로, 여기에서는 이른 민무늬 토기, 덧무늬 토기, 눌러찍기무늬 토기 등 신석기 시대의 토기가 출토되었습니다)

ㄴ. 서울 암사동 유적-빗살무늬토기

→ O(서울 암사동 유적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신석기 시대 유적지로, 움집터, 빗살무늬 토기 등이 출토되었습니다)

ㄷ. 공주 석장리 유적-미송리식토기

→ X(공주 석장리 유적은 구석기 시대의 유적지이며, 미송리식 토기는 청동기 시대의 토기입니다)

ㄹ. 부산 동삼동 유적-아슐리안형 주먹도끼

→ X(부산 동삼동 유적은 신석기 시대의 유적지인데, 아슐리안형 주먹도끼는 구석기 시대의 유물입니다)

정답은 ㄱ,ㄴ으로, ①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