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 (가)∼(라)의 사건들을 발생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나) 대한독립군단이 자유시 참변을 당한 것은 1921년이다. 러시아 내전, 독립군 내부 문제 등으로 인해 자유시 참변이 일어나 많은 독립군이 희생되었다.
(다) 쌍성보 전투는 1932년에 일어났다. 지청천이 이끄는 한국 독립군은 한중 연합 작전으로 쌍성보에서 일본군을 크게 무찔렀다.
(가) 조선의용대가 창설된 것은 1938년의 일이다. 조선의용대는 조선 민족 전선 연맹의 산하 군대로 중국군과 연합하여 정보 수집, 후방 교란 등의 대일 항전을 전개하였다.
(라) 한국광복군은 1940년에 조직되었다. 지청천, 김구 등은 충칭에서 한국광복군을 창설하였다.
(가)~(라)의 사건들을 발생 순서대로 나열하면 (나) → (다) → (가) → (라)이다.
정답 ④
17. (가), (나) 자료에 나타난 사건 사이에 있었던 사실로 옳지 않은 것은?
(가) 국모의 원수, 머리털을 풀 베듯이 베어 버린다는 것을 통해 을미의병(1895)에 대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을미의병은 을미사변(명성황후 시해), 을미개혁(단발령)에 반발하여 일어난 것이다.
(나) 군사장 허위를 통해 정미의병(1907)에 대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정미의병 때 군사장 허위 등이 지휘하는 13도 창의군이 결성되고, 이들은 서울 진공 작전을 계획하였다.
① 외교권이 박탈되고 통감부가 설치되었다.
→ O(외교권이 박탈되고 통감부가 설치된 것은 을사늑약(1905) 때의 일이다)
② 고종이 강제로 퇴위되고 군대가 해산되었다.
→ O(고종이 을사늑약에 대해 알리고자 헤이그 특사를 파견한 것을 구실로 강제 퇴위 당하고, 정미 7조약으로 군대까지 해산되자 정미의병이 일어났다)
③ 안중근이 하얼빈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하였다.
→ X(안중근이 하얼빈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한 것은 1909년의 일이다)
④ 헤이그에 이상설, 이준, 이위종을 특사로 파견하였다.
→ O(고종은 을사늑약 체결의 실상을 알리고자 만국 평화 회의가 열리던 네덜란드 헤이그에 이상설, 이준, 이위종을 특사로 파견하였다)
정답 ③
18. (가)∼(라) 시기에 해당하는 사실로 옳은 것은?
① (가) : 모스크바 3국 외상회의가 개최되었다.
→ X(한반도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1945년 12월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가 개최되었다.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는 광복 직후인 1945년 8월에 조직되었다)
② (나) :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가 설치되었다.
→ X(제헌 국회가 수립된 이후 반민족 행위 처벌법을 제정하고, 반민족 특별 조사 위원회가 설치되었다. 제헌 국회는 5·10 총선거를 통해 구성되었다)
③ (다) : 김구와 김규식이 남북 협상을 제안하여 평양에서 회의가 개최되었다.
→ O(미소 공동 위원회가 결렬되고 이승만이 정읍 발언을 통해 남한 단독 정부 수립을 주장하는 등 분단의 위험이 커지자 김구, 김규식은 북한에 남북 협상을 제안하였다)
④ (라) : 좌우합작 7원칙이 발표되었다.
→ X(제1차 미소 공동 위원회가 결렬되자 중도 좌파 여운형과 중도 우파 김규식은 좌우 합작 위원회를 조직하고 좌우 합작 7원칙을 발표하였다)
정답 ③
19. (가)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7·4 남북 공동 성명은 박정희 정부 때인 1972년, 남북한 유엔 동시 가입은 노태우 정부 때인 1991년의 일이다.
① 금강산 해로 관광이 시작되었다.
→ X(금강산 해로 관광 사업은 김대중 정부 때인 1998년에 시작되었다)
② 6·15 남북공동선언이 발표되었다.
→ X(6·15 남북 공동 선언이 팔표된 것은 김대중 정부 때의 2000년의 일이다)
③ 최초로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남북 적십자 회담이 열렸다.
→ X(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남북 적십자 회담이 최초로 열린 것은 박정희 정부 때인 1971년의 일이다)
④ 민족자존과 통일 번영을 위한 특별 선언(7·7선언)이 발표되었다.
→ O(민족 자존과 통일 번영을 위한 특별 선언(7·7 선언은 노태우 정부 때인 1988년에 발표되었다)
정답 ④
20. 다음 사건이 일어난 시기를 연표에서 옳게 고른 것은?
흥남부두 철수를 통해 제시된 사건이 흥남 철수(1950. 12.)임을 알 수 있다. 국군과 유엔군은 인천 상륙 작전의 성공으로 북진하여 평양까지 탈환하였다. 그러나 중공군의 개입으로 더 이상 올라가지 못했고, 중공군에 포위되어 흥남에서 철수하였다.
정답 ④
'소방직 한국사 > 2020'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 소방직 한국사(A형) 해설_11~15번 (0) | 2023.02.23 |
---|---|
2020년 소방직 한국사(A형) 해설_6~10번 (0) | 2023.02.23 |
2020년 소방직 한국사(A형) 해설_1~5번 (0) | 2023.02.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