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방직 한국사/2020

2020년 소방직 한국사(A형) 해설_11~15번

by 데일리히스토리 2023. 2. 23.
반응형

 

11. 다음의 지도가 편찬된 당시에 재위한 왕의 업적으로 옳은 것은?

제시된 지도는 조선 태종 때 만들어진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이다.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는 우리나라 최초의 세계 지도이다.

 

① 집현전을 설치하였다.

→ 세종(학술 연구 기관인 집현전을 설치한 왕은 세종이다)

 

② 호패법을 실시하였다.

→ 태종(태종은 농민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호패법을 실시하였다)

 

③ 『경국대전』을 반포하였다.

→ 성종(조선의 기본 법전인 『경국대전』을 반포한 왕은 성종이다)

 

④ 진관 체제를 도입하였다.

→ 세조(지역 단위의 방어 체제인 진관 체제를 도입한 왕은 세조이다)

 

정답 ②


12. 밑줄 친 발언을 한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남인 천거, 노론 억압 등을 통해 제시된 발언을 한 인물이 흥선 대원군임을 알 수 있다. 제시문은 흥선 대원군이 당파, 가문에 상관없이 능력 있는 인재를 등용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이다.

 

① 평시서를 설치하였다.

→ 세조(평시서는 조선 시대 시전과 도량형, 물가 등에 관한 일을 관장하던 관서로, 세조 때 설치되었다)

 

② 소격서를 폐지하였다.

→ 중종(도교 의례를 주관하던 소격서는 중종 때 조광조의 건의로 폐지되었다)

 

③ 삼군부를 부활시켰다.

→ 흥선 대원군(흥선 대원군은 비변사를 축소·폐지하고 의정부와 삼군부의 기능을 부활시켰다)

 

④ 『대전통편』을 편찬하였다.

→ 정조(왕조의 규범을 전반적으로 재정리한 『대전통편』은 정조 때 편찬되었다)

 

정답 ③


13. 다음 자료가 발표되기 이전에 나타난 정책으로 옳은 것은?

청국에 의존하지 않는다, 탁지아문을 통해 제시된 자료가 제2차 갑오개혁 때 발표된 홍범 14조임을 알 수 있다. 홍범 14조에는 청의 종주권 부인, 왕실 사무와 국정의 분리, 탁지아문으로 재정 일원화 등의 내용이 담겨 있다.

 

① 대한국국제를 발표하였다.

→ X(대한국국제는 대한 제국 시기에 발표되었는데, 이는 제2차 갑오개혁 이후의 일이다)

 

② 태양력을 사용하도록 하였다.

→ X(태양력을 사용하는 것은 을미개혁 때의 일로, 이는 제2차 갑오개혁 이후이다)

 

③ 6조를 8아문으로 개편하였다.

→ O(6조를 8아문으로 개편한 것은 제1차 갑오개혁 때의 일이다)

 

④ 건양이라는 연호를 제정하였다.

→ X(건양이라는 연호를 제정한 것은 을미개혁 때의 일로, 이는 제2차 갑오개혁 이후이다)

 

정답 ③


14. 다음을 선언한 민족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제시된 내용은 3·1 운동 때 발표된 독립 선언서 중 공약 3장의 내용이다. 3·1 독립 선언서는 최남선이 본문을 작성하고, 한용운이 공약 3장을 덧붙였다.

 

① 대한매일신보의 후원을 받았다.

→ X(대한매일신보의 후원을 받은 대표적인 민족 운동은 국채 보상 운동이다)

 

② 신간회의 지원을 받아 전국으로 확산되었다.

→ X(신간회의 지원을 받아 전국으로 확산된 민족 운동은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이다)

 

③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의 계기가 되었다.

→ O(3·1 운동 이후 독립운동을 주도할 조직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수립되었다)

 

④ 원산 노동자들의 총파업을 이끈 운동이었다.

→ X(원산 노동자 총파업은 일제 강점기에 일어난 최대 운동의 파업이었다)

 

정답 ③


15. 다음 글을 저술한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혼, 백을 통해 제시된 글을 저술한 인물이 박은식임을 알 수 있다. 박은식은 민족 정신으로 혼을 강조하였다.

 

① 유교구신론을 발표하여 유교 개혁을 주장하였다.

→ 박은식(박은식은 유교 구신론을 발표하여 유교의 문제를 지적하고, 유교 개혁을 주장하였다)

 

② 조선심을 강조하며 역사 대중화를 위해 노력하였다.

→ 문일평(조선심을 강조하며 역사 대중화를 위해 노력한 인물은 문일평이다)

 

③ 의열단의 기본 정신이 나타난 조선혁명선언을 저술하였다.

→ 신채호(의열단의 기본 정신이 나타난 조선 혁명 선언을 저술하여 민중의 직접 혁명을 주장한 인물은 시채호이다)

 

④ 민족 문화의 고유성과 세계성을 찾으려는 조선학 운동에 참여하였다.

→ 정인보 등(조선학 운동을 전개한 인물은 정인보, 문일평, 안재홍 등이다)

 

정답 ①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