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방직 한국사/2020

2020년 소방직 한국사(A형) 해설_1~5번

by 데일리히스토리 2023. 2. 23.
반응형

 

1. 다음 자료가 설명하는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제시된 자료는 고조선의 범금 8조이다. 고조선에서는 사회 질서 유지를 위해 범금 8조를 제정하였는데, 현재는 살인죄, 상해죄, 절도죄 등을 다룬 3개 조항만 전해진다.

 

① 영고라는 제천행사가 있었다.

→ 부여(영고라는 제천행사가 있었던 나라는 부여이다)

 

② 사람의 생명과 노동력을 중시하였다.

→ O(고조선에서는 살인자는 즉시 사형에 처하고, 남의 신체를 상해하면 곡물로 보상하게 하는 등 사람의 생명과 노동력을 중시하였다)

 

③ 형벌과 노비가 존재한 계급사회였다.

→ O(고조선에서는 절도죄를 저지르며 노예가 되게 하였는데, 이를 통해 형벌과 노비가 존재한 계급 사회였음을 알 수 있다)

 

④ 상·대부·장군 등의 관직이 있었다.

→ O(고조선에서는 왕 밑에 상, 대부, 장군 등의 관직이 있었다)

 

정답 ①


2. 다음 사건이 일어난 시기를 연표에서 옳게 고른 것은?

관산성을 통해 제시된 사건이 관산성 전투(554)에 대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백제 성왕은 사비로 천도한 후 체제를 정비하고, 신라 진흥왕과 함께 고구려가 차지한 한강 유역을 공격하여 영토를 되찾았다. 그러나 신라 진흥왕이 나제 동맹을 깨고 백제가 차지하였던 한강 하류 지역을 점령하자 이를 되찾기 위해 신라 관산성을 공격하였으나 패하고 성왕 자신은 전사하였다. 관산성 전투는 (라) 시기에 일어났다.

 

정답 ④


3. 밑줄 친 ‘이 시기’에 볼 수 있었던 모습으로 옳은 것은?

진골 귀족들의 왕위 쟁탈전이 치열하게 전개된 ‘이 시기’는 신라 하대이다. 신라 하대에는 진골 귀족들이 치열한 왕위 쟁탈전을 벌였고, 그로 인해 왕위가 자주 바뀌었다. 중앙 정치가 혼란스러워지자 지방에 대한 통제력이 약화되어 반란이 일어나기도 하였다.

 

① 우산국을 정벌하는 장군

→ X(이사부가 우산국을 정벌한 것은 신라 상대 지증왕 때의 일이다)

 

② 『계원필경』을 저술하는 6두품

→ O(통일 이후 당으로 건너가 공부하는 유학생이 증가하였고, 이들 중 일부는 귀국하여 신라를 개혁하고자 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대표적인 신라 하대에 활약한 최치원은 당의 빈공과에 급제하고 신라에 돌아와 진성 여왕에게 시무 10여 조를 올렸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한편 최치원이 저술한 『계원필경』은 우리나라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개인 문집이다)

 

③ 김흠돌의 난을 진압하는 군인

→ X(김흠돌의 난은 신라 중대 신문왕 때 일어났다)

 

④ 노비안검법 시행을 환영하는 농민

→ X(노비안검법은 고려 광종이 왕권 강화를 위해 실시한 정책이다)

 

정답 ②


4. 다음 자료가 설명하는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백성은 말갈인, 자사를 제시된 자료에서 설명하는 나라는 발해임을 알 수 있다. 발해의 지배층은 고구려 계통이었고, 피지배층은 말갈인이 많았다. 발해의 지방 행정 구역은 5경 15부 62주로 이루어졌는데, 이중 주에는 지방관으로 자사가 파견되었다.

 

① 전국을 5경 15부 62주로 정비하였다.

→ O(발해는 선왕 때 전국을 5경 15부 62주로 정비하였다)

 

② 정당성의 대내상이 국정을 총괄하였다.

→ O(발해에서는 정당성의 장관인 대내상이 국정을 총괄하였다)

 

③ 수도는 당의 수도인 장안을 본떠 건설하였다.

→ O(발해의 수도 상경성은 당의 수도인 장안을 본떠 건설한 도시이다)

 

④ 중앙에서 지방을 견제하기 위해 외사정을 파견하였다.

→ X(지방을 견제하기 위해 외사정을 파견한 나라는 통일 신라이다)

 

정답 ④


5. (가) 부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개경 환도에 반대하였다는 것을 통해 (가) 부대가 삼별초임을 알 수 있다. 고려 조정이 몽골과 강화를 맺고 강화도에서 개경으로 환도하려 하자 삼별초는 이에 반발하고 대몽 항쟁을 이어나갔다.

 

① 근거지를 옮기며 몽골에 저항하였다.

→ O(삼별초는 근거지를 진도, 제주도로 옮기며 몽골에 저항하였다)

 

② 처인성에서 적장 살리타를 사살하였다.

→ X(김윤후가 처인성에서 몽골 장수 살리타를 사살하였다)

 

③ 신기군, 신보군, 항마군으로 구성되었다.

→ X(신기군, 신보군, 항마군으로 구성된 부대는 윤관이 조직한 별무반이다)

 

④ 포수, 사수, 살수 등 삼수병으로 조직되었다.

→ X(포수, 사수, 살수 등 삼수병으로 조직된 부대는 조선 후기의 훈련도감이다)

 

정답 ①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