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고려시대 군사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북방의 양계지역에는 주현군을 따로 설치하였다.
→ X(양계 지역에 설치된 군대는 주진군이었습니다. 주현군은 5도에 편성된 군대였습니다)
② 2군(二軍)인 응양군과 용호군은 왕의 친위부대였다.
→ O(고려의 중앙군인 2군은 국왕의 친위부대로, 응양군, 용호군으로 구성되었습니다)
③ 6위(六衛) 중의 감문위는 궁성과 성문수비를 맡았다.
→ O(6위 중 하나인 감문위는 궁성을 경비하였습니다)
④ 직업군인인 경군에게 군인전을 지급하고 그 역을 자손에게 세습시켰다.
→ O(고려의 중앙군은 경군이라고도 불리는데, 직업 군인 중심으로 편성되었습니다. 이들은 군인전을 지급받았고, 그 역을 자손에게 세습하였습니다)
정답은 ①입니다.
7. <보기>의 (가), (나)와 같은 건의를 받은 국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외관을 두도록 하십시오라는 대목을 통해 제시문이 최승로와 관련 있음을 알 수 있고, 이러한 건의를 받은 국왕이 고려 성종임을 알 수 있습니다. 최승로는 시무 28조에서 외관 파견 등을 주장하였고, 성종이 이를 받아들이면서 유교 중심의 통치 체제가 정비되었습니다.
① 호족과의 혼인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였다.
→ 태조(호족과의 혼인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유대 관계를 강화하고자 한 국왕은 고려 태조입니다)
② 노비안검법을 실시하여 호족의 경제력을 약화시켰다.
→ 광종(불법으로 노비가 된 자들을 양인으로 해방하는 노비안검법을 실시하여 호족의 경제력을 약화하고자 한 국왕은 고려 광종입니다)
③ 양현고를 설치하고 보문각과 청연각을 세워 유학을 진흥시켰다.
→ 예종(장학 재단인 양현고, 왕실 도서관 겸 학문 연구소인 보문각·청연각을 세워 유학을 진흥하고자 한 국왕은 고려 예종입니다)
④ 연등회를 축소하고 팔관회를 폐지하여 국가적인 불교 행사를 억제하였다.
→ 성종(성종은 최승로의 시무 29조를 수용하여 유교 정치 이념을 받아들였고, 이에 따라 국가적 불교 행사였던 연등회와 팔관회를 축소 및 폐지하였습니다)
정답은 ④입니다.
8. 고려시대 불교계의 동향과 관련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백련결사를 제창한 요세는 참회와 수행에 중점을 두는 등 복잡한 이론보다 종교적 실천을 강조했다.
→ O(요세는 참회를 강조하는 법화 신앙을 바탕으로 백련 결사를 제창하였습니다)
② 재조대장경은 고려 전기에 만들어졌던 대장경 판목이 거란의 침입으로 불타버렸기 때문에 무신집권기에 다시 만든 것이다.
→ X(초조대장경은 거란의 침입을 부처의 힘으로 물리치기 위해 만들어졌고, 몽골의 제2차 침입 때 소실되었습니다)
③ 각훈은 삼국시대 이래 승려들의 전기를 정리하여 『해동고승전』을 지었다.
→ O(각훈은 왕명에 따라 삼국 시대 이래 우리나라 고승들의 전기를 정리하여 『해동고승전』을 편찬하였습니다)
④ 지눌은 깨달음과 더불어 실천을 강조하는 돈오점수를 주장했다.
→ O(지눌은 내가 부처라는 것을 깨닫고 이러한 깨달음을 얻기 위해 꾸준히 수행할 것을 강조한 돈오점수를 주장하였습니다)
정답은 ②입니다.
9. <보기>에서 밑줄 친 ‘그’가 활동하던 시대상황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장수와 재상이 어찌 씨로 따로 있냐는 대목을 통해 밑줄 친 ‘그’가 고려 무신 정권기에 반란을 도모한 만적임을 알 수 있습니다. 만적은 무신 정권기에 왕후장상의 씨가 따로 없다고 주장하며 신분 해방은 물론 정권 탈취까지 노리며 반란을 일으키고자 하였습니다.
① 최충의 9재 학당을 비롯한 사학 12도가 융성하였다.
→ 고려 중기(최충의 9재 학당을 비롯한 사학 12도가 융성한 것은 고려 중기로, 이는 무신 정권기 이전입니다)
② 경주 일대에서 고려 왕조를 부정하는 신라부흥운동이 일어났다.
→ 무신 정권기(무신 정권기에 김사미와 효심은 신라 부흥을 표방하며 난을 일으켰습니다)
③ 정혜쌍수와 돈오점수를 주장하는 수선결사운동이 전개되었다.
→ 무신 정권기(수선사 결사 운동을 전개한 지눌은 최씨 무신 정권의 후원을 받았습니다)
④ 소(所)의 거주민은 금, 은, 철 등 광업품이나 수공업 제품을 생산하여 바치기도 하였다.
→ 무신 정권기(향·부곡·소는 무신 정권기뿐만 아니라 고려 시대에 존재하였던 특수 행정 구역이었습니다. 이중 소는 특정 공납품을 생산하는 지역으로, 향·부곡이 통일 신라 시대부터 존재한 것에 비해 고려 시대에 처음 생겼습니다)
정답은 ①입니다.
10. 조선 태종 대의 주요 정책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① 사섬서를 두어 지폐인 저화를 발행하였다.
→ 태종(태종 때 설치된 사섬서는 저화 발행 및 노비가 국가에 바치는 면포 등을 관장하였습니다)
② 상평통보를 발행하여 화폐경제를 촉진하였다.
→ 인조~숙종(상평통보는 인조 때 처음 발행되었고, 숙종 때 전국적으로 유통되었습니다)
③ 지계를 발급하여 토지소유권을 공고히 하였다.
→ 고종(근대적 토지 소유권 제도인 지계는 대한 제국 시기 양전·지계 사업을 통해 발급되엇습니다)
④ 연분 9등법과 전분 6등법을 시행하여 조세제도를 개편하였다.
→ 세종(연분9등법, 전분6등법의 공법은 세종 때 실시되었습니다)
정답은 ①입니다.
'서울시 한국사 > 2019'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년 서울시 9급 공무원 한국사(2회, 'A'책형)_16~20번 풀이 (0) | 2023.01.29 |
---|---|
2019년 서울시 9급 공무원 한국사(2회, 'A'책형)_11~15번 풀이 (0) | 2023.01.29 |
2019년 서울시 9급 공무원 한국사(2회, 'A'책형)_1~5번 풀이 (0) | 2023.01.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