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 <보기>의 밑줄 친 (가) 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보빙사를 통해 (가) 국가가 미국임을 알 수 있습니다. 보빙사는 미국에 파견된 사절단이었습니다.
① 삼국 간섭에 참여하였다.
→ 러시아·프랑스·독일(청·일 전쟁 이후 시모노세키 조약으로 일본이 막대한 이권을 획득하자 러시아, 프랑스, 독일이 일본을 압박하여 랴오둥반도를 청에 반환하도록 하였습니다)
② 용암포를 강제 점령하고 조차를 요구하였다.
→ 러시아(용암포를 강제 점령하고 조차를 요구한 국가는 러시아입니다. 용암포 사건은 러·일 전쟁의 원인이 되었습니다)
③ 거문도를 불법으로 점령하였다.
→ 영국(거문도를 불법으로 점령한 국가는 영국입니다. 영국은 러시아의 남하 정책에 위기를 느끼고 거문도를 불법 점령하였습니다)
④ 운산 금광 채굴권을 차지하였다.
→ 미국(운산 금광 채굴권을 차지한 국가는 미국입니다. 미국인 모스는 대한 제국으로부터 운산 금광 채굴권을 넘겨받았습니다)
정답은 ④입니다.
17. <보기>의 협약 이후 일어난 사실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통감이 추천하는 일본인을 한국 관리에 임명한다는 내용을 통해 제시된 협약이 한·일 신협약(정미 7조약, 1907)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일본은 한·일 신협약을 통해 통감 권한을 강화하고 일본인을 한국의 차관으로 임명하도록 하였습니다.
① 각 부의 차관에 일본인이 임명되어 이른바 차관정치가 시작되었다.
→ O(한·일 신협약 이후 차관 정치가 시작되었습니다)
② 대한제국 군대가 해산되었다.
→ O(한·일 신협약의 부속 조약으로 대한 제국의 군대가 해산되었습니다)
③ 사법권과 경찰권을 빼앗겼다.
→ O(한·일 신협약 이후 대한 제국은 일본과 기유 각서를 체결하여 사법권을 박탈당하였고, 이후 경찰권도 박탈되었습니다)
④ 만국평화회의에 이상설 등이 파견되었다.
→ X(을사늑약에 대한 반발로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리던 만국 평화 회의에 이상설 등이 파견되었는데, 이는 한·일 신협약 체결 이전의 일입니다)
정답은 ④입니다.
18. <보기>에서 일제강점기의 사건을 발생한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ㄴ. 3·1 운동
→ 1919년(일제 강점기 민족 최대의 독립운동인 3·1 운동은 1919년에 일어났습니다)
ㄱ. 물산장려운동
→ 1920년대 초반(한민족이 만든 물건을 사용하자는 물산 장려 운동은 1920년대 초반에 전개되었습니다)
ㄹ. 6·10 만세운동
→ 1926년(6·10 만세 운동은 순종 인산일을 기해 1926년에 일어났습니다)
ㄷ. 광주학생항일운동
→ 1929년(3·1 운동 이후 최대의 독립운동이었던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은 1929년에 일어났습니다)
순서대로 나열하면 ㄴ - ㄱ - ㄹ - ㄷ으로, 정답은 ③입니다.
19. <보기> 선언문의 발표 후에 있었던 사건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제시문은 4·19 혁명 선언문(1960)입니다. 내용 자체가 민주주의에 대한 일반적인 내용을 담고 있어서 4·19 혁명으로 이어지는 결정적인 단서가 따로 없는데, 워낙에 유명한 선언문이라 보자마자 4·19 혁명과 관련되어 있음을 알아야 합니다.
① 이승만 대통령이 하야하였다.
→ O(학생들의 선언문 발표 이후 대학교수들까지 시국 선언문을 발표하자 이승만은 하야 성명을 발표하였습니다)
② 장면 정권이 수립되었다.
→ O(4·19 혁명으로 이승만 정부가 붕괴된 후 허정 과도 내각이 수립되었고, 이 내각에서 내각 책임제를 기본으로 하는 개헌을 하였습니다. 이 헌법에 따라 장면 정권이 수립되었습니다)
③ 민족자주통일중앙협의회가 조직되었다.
→ O(민족 자주 통일 중앙 협의회는 4·19 혁명 이후 혁신계 인사들이 조직한 단체입니다. 이들은 평화통일론 등을 주장하였습니다)
④ 조봉암이 진보당을 결성하였다.
→ X(조봉암이 진보당을 결성한 것은 4·19 혁명 이전인 1956년의 일입니다)
정답은 ④입니다.
20. <보기>와 같은 내용의 헌법으로 개정된 이후 발생한 사건으로 가장 옳은 것은?

통일 주체 국민 회의를 통해 <보기> 헌법이 박정희 정부 때 반포한 유신 헌법(1972)임을 알 수 있습니다. 유신 헌법에 따라 대통령은 통일 주체 국민 회의에서 간선제로 선출되었습니다.
① 굴욕적인 한일회담에 반대하는 학생 시위가 전개되었다.
→ X(한·일 회담에 반대하는 6·3 시위는 유신 체제 이전에 전개되었습니다)
② 재야 인사들이 명동성당에 모여 ‘3·1 민주구국선언’을 발표하였다.
→ O(3·1 민주 구국 선언은 유신 체제에 반대하는 것이었습니다)
③ 친일파 청산을 위해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를 설치하였다.
→ X(반민족 행위 특별 조사 위원회는 유신 체제 이전인 이승만 정부 시기에 설치되었습니다)
④ 민생안정을 위해 농가 부채 탕감, 화폐 개혁 등을 실시하였다.
→ X(박정희 등은 군사 정변을 일으킨 후 농어촌 고리채 탕감 등을 공표하였는데, 이는 유신 체제 이전의 일입니다)
정답은 ②입니다.
'서울시 한국사 > 2019'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년 서울시 9급 공무원 한국사(2회, 'A'책형)_11~15번 풀이 (0) | 2023.01.29 |
---|---|
2019년 서울시 9급 공무원 한국사(2회, 'A'책형)_6~10번 풀이 (0) | 2023.01.29 |
2019년 서울시 9급 공무원 한국사(2회, 'A'책형)_1~5번 풀이 (0) | 2023.01.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