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가직 한국사/2019

2019년 국가직 9급 공무원 한국사('나'책형)_6~10번 풀이

by 데일리히스토리 2023. 1. 10.
반응형

 

6. (가) 토지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인품만 가지고 등급을 결정하였다는 것을 통해 (가) 토지 제도가 경종 때 실시한 시정 전시과임을 알 수 있습니다. 경종은 전·현직 관리를 대상으로 관직과 인품을 고려해 토지에 대한 수조권을 지급하는 시정 전시과를 실시하였습니다.

① 4색 공복을 기준으로 문반, 무반, 잡업으로 나누어 지급 결수를 정하였다.

→ 시정 전시과(시정 전시과는 광종 때 마련된 4색 공복에 따라 문반, 무반, 잡업으로 나누어 지급 결수를 정하였습니다)

② 산관이 지급 대상에서 제외되었으며 무반의 차별 대우가 개선되었다.

→ 경정 전시과(경정 전시과에 따라 전직 관리(산관)은 전시과 지급 대상에서 제외되었고, 무관에 대한 차별 대우가 개선되었습니다)

③ 전임 관료와 현임 관료를 대상으로 경기지방에 한하여 지급하였다.

→ 과전법(과전법은 경기 지방에 한해 전임 관료와 현임 관료를 대상으로 전지(토지)만 지급한 것입니다)

④ 고려의 건국과정에서 충성도와 공로에 따라 차등 지급되었다.

→ 역분전(역분전은 태조가 공신들에게 고려 건국 과정에서의 논공행상에 따라 차등 지급한 것입니다)

정답은 ①입니다.

 

7. (가), (나)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을미사변은 1895년을사늑약은 1905년13도 창의군의 서울 진공 작전은 1908년의 일입니다. 

① (가) - 시전상인을 중심으로 황국중앙총상회가 조직되었다.

→ 1898년(시전 상인들이 1898년 황국 중앙 총상회를 설립하여 외국인의 불법적인 내륙 상업 활동에 대한 처벌을 요구하였습니다. 이는 (가) 시기에 해당됩니다)

② (가) - 신민회는 일제가 날조한 105인 사건으로 와해되었다.

→ 1911년(일제가 1911년 데라우치 총독 암살 미수 사건을 날조하여 일으킨 105인 사건으로 신민회가 와해되었습니다)

③ (나) - 함경도 관찰사 조병식이 곡물 수출을 막는 방곡령을 내렸다.

→ 1889년(일본으로의 곡물 유출 심화로 국내 식량이 부족해지자 1889년 함경도 관찰사 조병식은 곡물 수출을 막는 방곡령을 내렸습니다)

④ (나) - 일제의 황무지 개간권 요구를 반대하기 위해 보안회가 창설되었다.

→ 1904년(일본이 경제적 침탈을 강화하며 황무지에 대한 개간권을 요구하자 이를 저지하기 위해 1904년 보안회가 창설되었습니다)

정답은 ①입니다. 

 

8. (가) 왕대의 사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흑수말갈을 공격, 일본에 사신 파견을 통해 (가) 왕이 발해 무왕임을 알 수 있습니다. 발해 무왕은 흑수말갈이 당과 연결하려 하자 군사를 보내 흑수말갈을 공격하였습니다. 한편 무왕은 일본에 사신을 보내 통교하였습니다.

① 국호를 진국에서 발해로 바꾸었다.

→ 대조영(대조영은 국호를 진, 연호를 천통이라 하여 나라를 세웠는데, 이후 발해를 정식 국호로 채택하였습니다)

② 신라는 급찬 숭정을 발해에 사신으로 보냈다.

→ 정왕(신라 헌덕왕 때 급찬 숭정이 발해에 사신으로 갔는데, 이때 발해의 왕은 정왕이었습니다. 헌덕왕은 국내 정치 혼란을 수습하는 방법 중 하나로 대외 관계에 집중하여 발해에 사신을 파견하기도 하였습니다)

③ 대흥이라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다.

→ 문왕(발해 국왕들은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여 중국과 대등함을 강조하였는데, 대흥은 문왕 때 사용한 연호입니다)

④ 장문휴가 당의 등주를 공격하였다.

→ 무왕(무왕은 장문휴의 수군을 보내 당의 등주를 선제공격하도록 하였습니다)

정답은 ④입니다. 

 


9. 다음 전투를 이끈 한국인 부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사도하자를 통해 한국 독립군에 대한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일제가 일으킨 만주 사변 이후 한국인과 중국인 사이에 연합 전선이 형성되었습니다. 대표적으로 한국 독립군, 조선 혁명군이 있습니다. 

① 양세봉이 총사령관이었다.

→ 조선 혁명군(양세봉이 총사령관이었던 부대는 조선 혁명군입니다. 한국 독립군의 총사령관은 지청천이었습니다)

② 미쓰야 협정이 체결되기 직전까지 활약하였다.

→ 대한 독립 군단(1925년 체결된 미쓰야 협정 이전까지 활약한 대표적인 부대로는 대한 독립 군단이 있습니다. 한국 독립군은 1930년대 활약하였습니다)

③ 한국독립당의 산하부대로 동경성 전투도 수행하였다.

→ 한국 독립군(한국 독립당의 산하 부대인 한국 독립군은 중국 호로군과 함께 쌍성보·대전자령·동경성 전투 등에서 대승을 거두었습니다)

④ 조선민족전선연맹이 중국 국민당의 지원을 받아 창설하였다.

→ 조선 의용대(조선 민족 전성 연맹 산하 군대로 중국 국민당의 지원을 받아 창설한 부대는 조선 의용대입니다)

정답은 ③입니다. 

 

10. 밑줄 친 ㉠~㉣과 관련된 임란 이후 경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임란 이후 조선에서는 상품 화폐 경제가 발달하였습니다.

① ㉠ - 신해통공을 반포하여 육의전의 금난전권을 폐지하였다.

→ 정조 때 반포된 신해통공에서는 육의전을 제외한 서울 시전 상인들의 금난전권이 폐지되었습니다.

② ㉡ - 인삼과 더불어 대표적인 상업작물로 재배되었다.

→ 조선 후기에는 담배, 인삼 등의 상업 작물 재배로, 부를 획득하는 농민들이 많았습니다.

③ ㉢ - 『감저보』, 『감저신보』에서 재배법을 기술하였다.

→ 조선 후기에는 대표적 구황 작물인 고구마가 일본에서 들어왔습니다. 이에 고구마 재배법 등을 저술한 『감저보』, 『감저신보』 등이 편찬되었습니다. 

④ ㉣ - 밭농사에서 농업 생산력의 발전을 가져온 농법이었다.

→ 견종법은 고랑에 파종하는 밭농사 방식으로, 조선 후기에 널리 퍼져 농업 생산력의 발전을 가져왔습니다.

정답은 ①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