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가직 한국사/2019

2019년 국가직 9급 공무원 한국사('나'책형)_11~15번 풀이

by 데일리히스토리 2023. 1. 10.
반응형

 

11. 단군에 대한 인식을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이승휴의 『제왕운기』에서는 우리 역사를 단군부터 서술하였다.

→ 고려 시대에 이승휴는 『제왕운기』에서 단군 신화를 수록하는 등 우리 역사를 단군부터 서술하였습니다.

② 홍만종의 『동국역대총목』은 단군 정통론의 입장에서 기술하였다.

→ 조선 후기에 홍만종의 『동국역대총목』은 우리 역사가 단군을 정통으로 하여 시작되었다고 서술하였습니다.

③ 이규보의 「동명왕편」은 단군의 건국 과정을 다루고 있다.

→ 고려 시대에 이규보가 저술한 「동명왕편」은 고구려 동명왕(주몽)에 대한 영웅 서사시로, 단군에 대해서는 다루고 있지 않습니다. 

④ 「기미독립선언서」에는 ‘조선건국 4252년’으로 연도를 표기하였다.

→ 일제 강점기에 서술된 「기미독립선언서」에서는 당시 연도를 단군이 세운 고조선을 기준으로 4252년으로 표기하였습니다.

정답은 ③입니다. 


12. 다음 내용이 실린 사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기이편을 통해 제시문이 『삼국유사』에 대한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삼국유사』는 왕력, 기이, 흥법, 탑상 등 9개 편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기이편 서두에는 이 편을 왜 쓰는지 이유를 밝히고 있습니다. 

① 불교 승려의 전기를 수록한 고승전이다.

→ 『해동고승전』(고려 고종 때 각훈은 왕명에 따라 우리나라 고승들의 전기를 수록한 『해동고승전』을 편찬하였습니다) 

② 불교 중심의 고대 민간 설화를 수록하였다.

→ 『삼국유사』(일연은 『삼국유사』를 통해 불교사 중심으로 고대의 민간 설화나 전래 기록을 수록하였습니다)

③ 고조선부터 고려 말까지의 역사를 정리하였다.

→ 『동국통감』(조선 성종 때 서거정 등이 고조선~고려 말까지의 역사를 정리하여 『동국통감』을 편찬하였습니다) 

④ 유교적 사관에 기초하여 기전체로 서술하였다.

→ 『삼국사기』(인종 때 김부식은 유교적 합리주의 사관에 기초하여 기전체로 『삼국사기』를 편찬하였습니다)

정답은 ②입니다.

 

13. (가)의 체결 이후에 일어난 사실로 옳은 것은?

청군과 일본군의 개입, 농민군이 폐정 개혁을 제시하여 정부와 맺음을 통해 (가)가 전주 화약임을 알 수 있습니다. 동학 농민 운동을 수습하기 위해 조선 정부가 청에 지원을 요청하자 톈진 조약에 따라 일본도 군대를 파견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사태가 악화되자 동학 농민군은 조선 정부와 외국 군대 철병 및 폐정 개혁을 조건으로 전주 화약을 체결하였습니다.

① 농민군이 황토현에서 감영군을 격파하였다.

→ (가) 이전(동학 농민군은 제1차 봉기 때 황토현에서 감영군을 격파하였습니다. 이는 전주 화약 이전의 일입니다)

② 고부군수 조병갑이 만석보를 쌓아 수세를 강제로 거두었다.

→ (가) 이전(고부 군수 조병갑이 만석보를 쌓아 수세를 강제로 거두는 등 여러 횡포를 자행하자 전봉준 등이 농민을 이끌고 고부 관아를 습격하였습니다. 이는 전주 화약 이전의 일입니다) 

③ 안핵사 이용태가 농민을 동학도로 몰아 처벌하였다.

→ (가) 이전(고부 군수 조병갑의 탐학에 전봉준 등이 농민을 이끌고 고부 관아를 습격하자 이를 수습하기 위해 조선 정부는 안핵사를 파견하였습니다. 그런데 안핵사 이용태가 봉기 관련자들을 역적으로 몰고 탄압하자 농민들의 분노가 다시 폭발하였습니다. 이는 전주 화약 이전의 일입니다)

④ 남접군과 북접군이 논산에서 합류하여 연합군을 형성하였다.

→ (가) 이후(조선에 들어온 일본군의 내정 간섭 심화 등으로 동학 농민군이 다시 봉기하였습니다. 이때에는 전봉준이 이끄는 남접뿐만 아니라 제1차 동학 농민 운동 때 참여하지 않았던 북접군도 남접군과 연합하여 논산에 집결하였습니다. 이는 전주 화약 체결 이후의 일입니다)

정답은 ④입니다.

 

14. (가) 시기의 경제 상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9주 5소경 설치는 신문왕대공의 난 발발은 혜공왕 때의 일입니다. 한편 국호가 ‘신라’로 확정된 것은 지증왕독서삼품과 실시는 원성왕 때의 일입니다.

① 백성에게 정전을 처음으로 지급하였다.

→ 성덕왕(백성에게 정전을 지급한 것은 성덕왕 때로, 이는 (가) 시기에 해당합니다)

② 시장을 감독하는 관청인 동시전을 신설하였다.

→ 지증왕(시장을 감독하는 관청이 동시전을 신설된 것은 지증왕 때로 이는 (가) 이전 시기에 해당합니다)

③ 백성의 구휼을 위하여 진대법을 제정하였다.

→ 고국천왕(백성을 구휼하기 위한 진대법은 고구려 고국천왕 때 제정된 것으로, 이는 (가) 이전 시기에 해당합니다)

④ 청주(菁州)의 거로현을 국학생의 녹읍으로 삼았다.

→ 소성왕(청주 고로현을 국학생의 녹읍으로 삼은 것은 소성와 때의 일로, 이는 (가) 이후 시기에 해당합니다)

정답은 ①입니다.

 


15. 우리나라 문화유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개성 경천사지 10층 석탑은 원의 석탑을 본떠 만들어졌다.

→ 고려 후기에 축조된 개성 경천사지 10층 석탑은 원의 석탑을 본떠 만들어졌습니다. 조선 세조 때 만들어진 원각사지 10층 석탑은 경천사지 10층 석탑에 영향을 받았습니다. 

②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은 주심포식 목조 건물이다.

→ 고려 시대 만들어진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은 주식포식 목조 건물로, 배흘림 기둥, 팔작 지붕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③ 부여 정림사지 5층 석탑에서는 백제 무왕의 왕후가 넣은 사리기가 발견되었다.

→ 백제의 무왕의 왕후가 넣은 사리기가 발견된 것은 익산 미륵사지 석탑입니다. 부여 정림사지 5층 석탑은 나당 연합군이 백제를 멸망시킨 후 당 장수 소정방이 백제를 정벌한 기념탑이라는 글귀를 남겨 놓아 한때 평제탑으로 불렸습니다. 

④ 김제 금산사 미륵전은 다층 건물이나 내부가 하나로 통한다.

→ 조선 후기에 세워진 김제 금산사 미륵전은 다층 건물로, 내부가 하나로 통하는 구조였습니다.

정답은 ③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