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가직 한국사/2019

2019년 국가직 9급 공무원 한국사('나'책형)_1~5번 풀이

by 데일리히스토리 2023. 1. 10.
반응형

 

 

 

 

 

 

1. 청동기시대의 유적과 유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연천 전곡리에서는 사냥도구인 주먹도끼가 출토되었다.

→ 구석기 시대(주먹도끼는 대표적인 구석기 시대 유물입니다. 특히 연천 전곡리에서 출토된 아슐리안형 주먹도끼는 동아시아 최초로 출토된 것으로, 제국주의적인 모비우스 학설이 폐기되는 데 큰 역할을 하였습니다)

② 창원 다호리에서는 문자를 적는 이 출토되었다.

→ 철기 시대(창원 다호리에서 출토된 붓은 철기 시대의 유물입니다. 이를 통해 한자를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③ 강화 부근리에서는 탁자식 고인돌이 발견되었다.

→ 청동기 시대(우리나라에서 많이 볼 수 있는 탁자식 고인돌은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유물로, 고인돌은 지배층의 경제력과 정치권력이 반영된 무덤입니다)

④ 서울 암사동에서는 곡물을 담는 빗살무늬토기가 나왔다.

→ 신석기 시대(서울 암사동은 신석기 시대의 대표적인 유적지로, 농경이 시작된 신석기 시대에는 곡식의 저장 및 조리를 위해 빗살무늬 토기 등을 만들었습니다)

정답은 ③입니다.

 


2. (가), (나)의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영고를 통해 부여임을 알 수 있습니다. 영고는 부여의 제천 행사로, 수렵 사회의 전통을 보여 주는 것이었습니다.

(나) 무천을 통해 동예임을 알 수 있습니다. 무천은 동예의 제천 행사로, 이때 공동으로 하늘에 제사를 지냈습니다.

① (가) - 5부가 있었으며, 계루부에서 왕위를 차지하였다.

→ 고구려(5부족 연맹체로, 계루부 고씨가 왕위를 세습한 나라는 고구려입니다)

② (가) -정치적 지배자로 신지, 읍차 등이 있었다.

→ 삼한(정치적 지배자로 신지, 견지, 부례, 읍차 등이 있었던 나라는 삼한입니다)

③ (나) -죄를 지은 사람이 소도에 들어가면 잡아가지 못하였다.

→ 삼한(죄를 지은 사람이 신성 지역인 소도에 들어가면 잡아가지 못하였던 나라는 삼한입니다. 삼한은 제정분리 사회로 정치적 지배자인 군장과 함께 종교적 지배자인 천군이 있었습니다)

④ (나) - 다른 부족의 영역을 침범하면 책화라 하여 노비나 소, 말로 변상하였다.

→ 동예(산천을 중시하여 다른 부족의 영역을 침범하면 노비와 소, 말로 변상하도록 한 책화는 동예의 풍습입니다)

정답은 ④입니다.

 

3. (가) 왕의 시기에 일어난 사실로 옳은 것은?

이자겸, 금, 작은 나라로서 큰 나라를 섬김을 통해 (가)가 고려 인종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인종 때 집권자였던 이자겸은 금의 사대 요구에 대해 작은 나라가 큰 나라는 섬기는 것이 선왕의 도리(이소사대)라며 사대 요구를 수용하였습니다. 

① 도평의사사를 중심으로 정치를 주도하였다.

→ 충렬왕(고려 후기 충렬왕 때 도병마사가 도평의사사로 개편되면서 최고 정무 기구로 발전하였습니다)

② 성리학을 수용하면서 『주자가례』를 보급하였다.

→ 충렬왕 이후(고려 후기 충렬왕 때 안향을 통해 성리학을 수용하였고, 고려 후기의 신진 사대부들은 성리학을 보급하는 과정에서 『소학』과 『주자가례』를 중시하였습니다)

③ 서경에 대화궁을 짓게 하고 칭제건원을 주장하였다.

→ 인종(인종 때 묘청 등 서경파는 서경에 대화궁을 건설하고 칭제건원할 것을 주장하였습니다)

④ 몽골의 침략에 대응하기 위해 강화도로 도읍을 옮겼다.

→ 고종(고종 때 집권자였던 최우는 몽골의 침략에 대비하기 위해 수도를 강화도로 옮겼습니다)

정답은 ③입니다. 

 

4. 밑줄 친 ㉠ 이후에 일어난 사실로 옳지 않은 것은?

1919년의 독립 만세 운동은 3·1 운동입니다. 

① ‘암태도 소작쟁의’가 일어났다.

→ 1923년(암태도 소작 쟁의는 지나친 소작료 수취에 반발하며 1923년 암태도의 소작인들이 일으킨 것으로, 이를 통해 소작료가 인하되었습니다)

② ‘정우회 선언’이 발표되었다.

→ 1926년(6·10 만세 운동 이후 민족 유일당 운동이 전개되기 시작하였고, 1926년 사회주의 단체였던 정우회는 민족주의 세력과의 연대를 담은 정우회 선언을 발표하였습니다)

③ 임병찬이 독립의군부를 조직하였다.

→ 1912년(임병찬은 1912년 고종의 밀명을 받아 의병과 유생을 규합하여 독립 의군부를 조직하였습니다)

④ 조선 민립대학 기성회가 창립되었다.

→ 1922년(일제의 식민지 차별 교육에 대항하고 고등 교육 기관을 설립하기 위해 1922년 이상재 등이 조선 민립 대학 기성회를 조직하였습니다)

정답은 ③입니다. 

 

5. 밑줄 친 ‘성상(聖上)’대에 편찬된 서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세조의 뜻을 받들어 법전을 완성해 반포했다는 내용을 통해 밑줄 친 성상이 조선 성종임을 알 수 있습니다. 세조 때 편찬하기 시작한 경국대전은 성종 때 반포되었습니다. 

① 『동국병감』은 고조선에서 고려말까지의 전쟁을 정리한 병서이다.

→ 문종(『동국병감』은 문종 때 편찬된 것으로, 고조선~고려 말까지의 전쟁사를 정리한 병서입니다)

② 『동몽선습』은 중국과 우리나라의 역사를 담은 아동교육서이다.

→ 중종(『동몽선습』은 종종 때 박세무가 저술한 아동 교육서로, 서당에서 교재로 사용되었습니다)

③ 『삼강행실도』는 모범적인 효자·충신·열녀를 다룬 윤리서이다.

→ 세종(『삼강행실도』는 세종 때 모범적인 효자·충신·열녀의 행적을 그림과 함께 설명한 윤리서입니다)

④ 『국조오례의』는 국가의 여러 행사에 필요한 의례를 정비한 의례서이다.

→ 성종(『국조오례의』는 성종 때 편찬한 것으로, 이를 통해 국가의 여러 행사에 필요한 의례를 정비하였습니다)

정답은 ④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