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 (가) 교육기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주세붕 창건을 통해 (가) 교육 기관이 서원임을 알 수 있습니다. 조선 시대의 사립 교육 기관이었던 서원은 주세붕이 안향을 모시기 위해 세운 백운동 서원이 시초였습니다.
① 지방의 군현에 있던 유일한 관학이다.
→ 향교(지방의 중등 교육 기관으로 부·목·군·현에 각각 하나씩 설립되었던 관학은 향교입니다)
② 선비와 평민의 자제에게 『천자문』 등을 가르쳤다.
→ 서당(선비와 평민의 자제에게 『천자문』 등을 가르친 초등 교육 기관은 서당입니다)
③ 성적 우수자는 문과의 초시를 면제해 주었다.
→ 향교(매년 2차례 시험을 실시하여 성적 우수자에게 생원·진사 시험의 초시를 면제해 주었던 교육 기관은 향교입니다)
④ 학문 연구와 선현의 제사를 위해 설립된 사설 교육기관이다.
→ 서원(서원은 성리학을 연구하고 선대 유학자들에 대한 제사를 지내기 위해 설립된 사설 교육 기관입니다)
정답은 ④입니다.
17. (가), (나)가 설명하는 조약을 옳게 짝 지은 것은?

(가) 양곡의 무제한 유출 가능, 일본 정부에 소속된 선박은 항세를 납부하지 않는다는 것을 통해 조·일 무역 규칙임을 알 수 있습니다. 조·일 무역 규칙으로 양곡의 무제한 유출이 허용되었고, 일본 수출임 상품에 대한 무관세가 사실상 규정되었습니다.
(나) 『조선책략』, 거중조정, 최혜국 대우를 통해 조·미 수호 통상 조약임을 알 수 있습니다. 황준헌의 『조선책략』 유포로 미국에 대한 기대감이 상승하면서 청의 알선으로 조·미 수호 통상 조약이 체결되었습니다. 조·미 수호 통상 조약에서는 위협을 받을 경우 서로 돕는다는 거중 조정, 다른 나라에 부여하고 있는 유리한 대우를 체결 상대국에게도 부여한다는 최혜국 대우 등이 규정되어 있었습니다.
정답은 ①입니다.
18. 다음은 어떤 인물에 대한 연보이다. 밑줄 친 ㉠~㉣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 - 왕명을 출납하면서 왕의 비서기관의 업무를 하였다.
→ 승정원(조선 시대에 왕명의 출납을 담당하였던 국왕의 비서 기구는 승정원입니다)
② ㉡ - 삼사의 관리를 추천하는 권한이 있었다.
→ 이조 좌랑(이조의 인사권을 담당한 이조 좌랑은 삼사의 관리 선발권인 통청권 등이 있었습니다)
③ ㉢ - 왕의 정책을 간쟁하고 관원의 비행을 감찰하였다.
→ 사간원(조선 시대에 왕의 정책을 간쟁하고 관원의 비행을 감찰한 기관은 사간원입니다)
④ ㉣ - 서적 출판 및 간행의 업무를 전담하였다.
→ 교서관(서적 출판 및 간행을 담당한 기관은 교서관입니다. 홍문관은 궁궐의 서적을 관리하고 왕에 대한 자문을 담당한 언론 기관이었습니다)
정답은 ②입니다.
19. 다음 글의 저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유교계 문제, 구신을 통해 다음 글의 저자가 박은식임을 알 수 있습니다. 박은식은 유교 구신론에서 유교계의 3대 문제를 지적하며 유교를 개혁해야 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① ‘조선얼’을 강조하며 ‘조선학 운동’을 펼쳤다.
→ 정인보(조선학 운동을 전개한 정인보는 민족정신으로 조선얼을 강조하였습니다)
② ‘나라는 형(形)이고 역사는 신(神)’이라고 주장하였다.
→ 박은식(민족주의 사학자인 박은식은 민족정신으로 혼을 강조하였는데, 『한국통사』에서 나라는 형이고, 역사는 정신이라고 주장하였습니다)
③ 주석·부주석 체제하의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주석을 역임하였다.
→ 김구(제5차 개헌으로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주석·부주석 체제로 개편되었는데, 이때 김구가 주석을 역임하였습니다)
④ 「독사신론」에서 민족을 역사서술의 주체로 설정하고 사대주의를 비판하였다.
→ 신채호(민족주의 사학자인 신채호는 「독사신론」에서 민족의 역사 서술의 주체로 설정하고 근대 민족주의 사학의 방향을 제시하였습니다)
정답은 ②입니다.
20. (가)~(라)를 시기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가) 좌우합작 7원칙이 발표되었다.
→ 1946년(좌우 합작 위원회는 1946년에 미소 공동 위원회에 참가한 후 신탁 통치 문제 해결, 유상 매입과 무상 분배 원칙의 토지 개혁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좌우 합작 7원칙을 발표하였습니다)
(나)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가 결성되었다.
→ 1945년 8월(여운형은 광복 직후 조선 건국 동맹을 조선 건국 준비 위회로 개편하였습니다)
(다)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가 개최되었다.
→ 1945년 12월(미국, 영국, 소련의 외상이 1945년 12월 모스크바에서 회의를 열어 한반도 문제에 대해 협의하였습니다)
(라) 김구와 김규식이 남북협상을 제의하였다.
→ 1948년(유엔 소총회의 남한 단독 선거 결정으로 남북 분단이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아지자 1948년 김구와 김규식은 북한의 김일성 등에게 남북 협상을 제의하였습니다)
시기 순으로 나열하면 (나) → (다) → (가) → (라)로, 정답은 ②입니다.
'국가직 한국사 > 2019'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년 국가직 9급 공무원 한국사('나'책형)_11~15번 풀이 (0) | 2023.01.10 |
---|---|
2019년 국가직 9급 공무원 한국사('나'책형)_6~10번 풀이 (0) | 2023.01.10 |
2019년 국가직 9급 공무원 한국사('나'책형)_1~5번 풀이 (0) | 2023.01.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