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방직 한국사12

2020년 소방직 한국사(A형) 해설_16~20번 16. (가)∼(라)의 사건들을 발생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나) 대한독립군단이 자유시 참변을 당한 것은 1921년이다. 러시아 내전, 독립군 내부 문제 등으로 인해 자유시 참변이 일어나 많은 독립군이 희생되었다. (다) 쌍성보 전투는 1932년에 일어났다. 지청천이 이끄는 한국 독립군은 한중 연합 작전으로 쌍성보에서 일본군을 크게 무찔렀다. (가) 조선의용대가 창설된 것은 1938년의 일이다. 조선의용대는 조선 민족 전선 연맹의 산하 군대로 중국군과 연합하여 정보 수집, 후방 교란 등의 대일 항전을 전개하였다. (라) 한국광복군은 1940년에 조직되었다. 지청천, 김구 등은 충칭에서 한국광복군을 창설하였다. (가)~(라)의 사건들을 발생 순서대로 나열하면 (나) → (다) → (가) → (라)이.. 2023. 2. 23.
2020년 소방직 한국사(A형) 해설_11~15번 11. 다음의 지도가 편찬된 당시에 재위한 왕의 업적으로 옳은 것은? 제시된 지도는 조선 태종 때 만들어진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이다.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는 우리나라 최초의 세계 지도이다. ① 집현전을 설치하였다. → 세종(학술 연구 기관인 집현전을 설치한 왕은 세종이다) ② 호패법을 실시하였다. → 태종(태종은 농민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호패법을 실시하였다) ③ 『경국대전』을 반포하였다. → 성종(조선의 기본 법전인 『경국대전』을 반포한 왕은 성종이다) ④ 진관 체제를 도입하였다. → 세조(지역 단위의 방어 체제인 진관 체제를 도입한 왕은 세조이다) 정답 ② 12. 밑줄 친 발언을 한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남인 천거, 노론 억압 등을 통해 제시된 발언을 한 인물이 흥선 대원군임을 알 수 있다... 2023. 2. 23.
2020년 소방직 한국사(A형) 해설_6~10번 6. 다음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돈오점수, 정혜쌍수를 통해 제시된 인물이 지눌임을 알 수 있다. 지눌은 내가 곧 부처라는 것을 깨닫고 이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돈오점수, 선과 교학이 근본적으로 둘이 아니라는 정혜쌍수를 주장하였다. ① 『천태사교의』를 저술하였다. → 제관(『천태사교의』를 저술한 인물은 고려 광종 대 활약한 제관이다) ② 조계산에서 수선사를 개창하였다. → 지눌(지눌은 조계산에서 수선사를 개창하고 승려 본연의 자세로 돌아가자는 수선사 결사 운동을 전개하였다) ③ 속장경의 제작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였다. → 의천(속장경 제작에 주도적으로 참여한 인물은 의천이다) ④ 참회수행과 염불을 통한 백련결사를 주장하였다. → 요세(참회수행과 염불을 통한 백련결사를 주장한 인물은 요세이다) .. 2023. 2. 23.
2020년 소방직 한국사(A형) 해설_1~5번 1. 다음 자료가 설명하는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제시된 자료는 고조선의 범금 8조이다. 고조선에서는 사회 질서 유지를 위해 범금 8조를 제정하였는데, 현재는 살인죄, 상해죄, 절도죄 등을 다룬 3개 조항만 전해진다. ① 영고라는 제천행사가 있었다. → 부여(영고라는 제천행사가 있었던 나라는 부여이다) ② 사람의 생명과 노동력을 중시하였다. → O(고조선에서는 살인자는 즉시 사형에 처하고, 남의 신체를 상해하면 곡물로 보상하게 하는 등 사람의 생명과 노동력을 중시하였다) ③ 형벌과 노비가 존재한 계급사회였다. → O(고조선에서는 절도죄를 저지르며 노예가 되게 하였는데, 이를 통해 형벌과 노비가 존재한 계급 사회였음을 알 수 있다) ④ 상·대부·장군 등의 관직이 있었다. → O(고조선에서는.. 2023. 2.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