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97 2022년 서울시 9급 6월 공무원 한국사('A'책형)_16~20번 풀이 16. 〈보기〉의 조선 후기 호락논쟁에 대한 설명 중 성격이 다른 것은? 호락 논쟁은 인간과 사물의 본성을 어떻게 볼 것인가하는 문제를 둘러싸고 호론과 낙론으로 나뉘어 벌어진 논쟁입니다. 이때 호론은 인물성이론, 낙론은 인물성동론을 주장하였습니다. ㄱ. 조선을 중화로, 청을 오랑캐로 보는 명분론으로 이어진다. → 호론(조선은 중화로, 청을 오랑캐로 보는 명분론은 인물성이론을 주장한 호론에 대한 설명입니다) ㄴ. 조선후기 실학운동으로 이어지는 사상적 기반이 되었다. → 낙론(인물성동론을 주장한 낙론의 사상은 북학파 실학사상으로 이어졌습니다) ㄷ. 주로 충청도 지역의 학자들이 중심이 되었다. → 호론(주로 충청도 지역의 학자들이 중심을 이룬 것은 호론이다. 낙론은 서울, 경기 지방의 학자들이 .. 2023. 1. 24. 2022년 서울시 9급 6월 공무원 한국사('A'책형)_11~15번 풀이 11. 〈보기〉에서 설명하는 기록물에 해당하는 것은? 조선 후기, 국왕의 일기 형식을 통해 에서 설명하는 기록물이 『일성록』임을 알 수 있습니다. ① 승정원일기 → X(『승정원일기』는 왕의 비서 기관인 승정원에서 기록한 것으로, 유네스코 세계 기록유산으로 등재되어 있습니다) ② 비변사등록 → X(『비변사등록』은 비변사의 회의록으로 『조선왕조실록』을 편찬할 때 중요한 연구 자료 중 하나로 사용되었습니다) ③ 조선왕조실록 → X(『조선왕조실록』은 왕의 사후 사관이 작성한 기록과 여러 자료를 통합하여 편찬한 것으로, 유네스코 세계 기록유산에 등재되어 있습니다) ④ 일성록 → O(『일성록』은 정조의 개인 일기에서 시작되었는데, 임금의 동정과 국정 운영 상황을 매일 기록하였습니다. 2011년에는 유.. 2023. 1. 24. 2022년 서울시 9급 6월 공무원 한국사('A'책형)_6~10번 풀이 6. 조선시기의 과거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생원과 진사를 선발하는 사마시의 1차 시험(초시)에서는 합격자의 수를 각 도의 인구 비율로 배분하였다. → O(조선 시대에 생원과 진사를 뽑는 사마시의 1차 시험에서는 각 도의 인구 비율로 700명을 뽑았습니다) ② 문과의 정기시험에는 현직 관원도 응시할 수 있었고, 합격하면 관품을 1~4계 올려주었다. → O(문과의 정기 시험에는 현직 관원도 응시할 수 있었고, 1~4계까지 승진이 가능하였습니다) ③ 조선시기에는 고려시기와 달리 과거를 보지 않고 관직으로 진출할 수 있는 음서제도가 폐지되었다. → X(조선 시대에도 음서 제도가 있었으나 5품 이상의 자제에게 적용되었던 고려 시대와는 달리 2품 이상의 고관 자제에게만 적용되었고.. 2023. 1. 24. 2022년 서울시 9급 6월 공무원 한국사('A'책형)_1~5번 풀이 1. 〈보기〉의 밑줄 친 ‘이 시대’와 가장 관련이 없는 것은? 한반도 남부 지역에서 벼농사가 보급되었다는 것을 통해 밑줄 친 ‘이 시대’가 청동기 시대임을 알 수 있습니다. 청동기 시대에는 조, 보리 등 밭농사가 주로 행해졌으나 한반도 남부 지역에서는 벼농사가 시작되었습니다. ① 고인돌 → O(고인돌은 청동기 시대 지배층의 무덤입니다) ② 반달 돌칼 → O(반달 돌칼은 청동기 시대의 농기구로 간석기입니다. 청동기 시대에는 청동이 귀하였기 때문에 농기구로는 여전히 간석기를 사용하였습니다) ③ 민무늬 토기 → O(민무늬 토기는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토기입니다) ④ 슴베찌르개 → X(슴베찌르개는 구석기 후기에 사용된 도구입니다) 정답은 ④입니다. 2. 〈보기〉의 정책을 실시한 신라의 왕.. 2023. 1. 24.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