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다음 전투 이후에 일어난 사건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매소성을 통해 제시된 전투가 매소성 전투임(675)을 알 수 있다. 신라는 매소성·기벌포 전투에서 승리하여 당을 몰아내고 삼국 통일을 달성하였다.
ㄱ. 웅진도독부가 설치되었다.
→ X(백제 멸망 이후 당이 웅진 도독부를 설치하였는데, 이는 매소성 전투 이전의 일이다)
ㄴ. 김흠돌이 반란을 일으켰다.
→ O(삼국 통일 이후 신문왕은 김흠돌의 난을 진압하여 왕권을 강화하였다)
ㄷ. 교육 기관인 국학이 설립되었다.
→ O(삼국 통일 이후 신문왕은 유교 정치 이념을 확립하기 위해 국학을 설치하였다)
ㄹ. 복신과 도침이 부여풍과 함께 백제 부흥 운동을 일으켰다.
→ X(백제가 멸망한 후 복신, 도침, 부여풍 등이 백제 부흥 운동을 전개하였는데, 이는 매소성 전투 이전의 일이다)
옳은 것은 ㄴ, ㄷ이다.
정답 ③
7. 다음 사건을 시기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나) 고구려의 서안평 점령
→ 311년(고구려 미천왕은 중국이 5호 16국 시대로 혼란스러운 틈을 타 서안평을 점령하였다)
(가) 신라의 우산국 복속
→ 512년(신라 지증왕은 이사부를 파견하여 지금의 울릉도인 우산국을 복속하였다)
(라) 신라의 금관가야 병합
→ 532년(신라 법흥왕 때 금관가야를 병합하여 영토를 넓혔다)
(다) 백제의 대야성 점령
→ 642년(백제 의자왕은 대야성 등 신라의 여러 성을 점령하였다)
제시된 사건은 시기순으로 나열하면 (나) → (가) → (라) → (다)이다.
정답 ③
8. 고려시대 문화유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황해도 사리원 성불사 웅진전은 다포 양식의 건물이다.
→ ?(일단 황해도 사리원 성불사 응진전은 고려의 대표적인 다포 양식 건물이다. 선지의 웅진전은 오타이고 그런 건물이 없으므로 그 자체로 틀린 설명이 된다)
② 월정사 팔각 9층 석탑은 원의 석탑을 모방하여 제작하였다.
→ X(월정사 팔각 9층 석탑은 송의 영향을 받은 다각 다층탑이다. 원의 영향을 받은 석탑으로는 경천사지 10층 석탑이 유명하다)
③ 여주 고달사지 승탑은 통일 신라의 팔각원당형 양식을 계승하였다.
→ O(여주 고달사지 승탑은 통일 신라 승탑의 전형인 팔각 원당형 양식을 계승한 것이다)
④ 직지심체요절은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본이다.
→ O(직지심체요절은 현존하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 활자본으로 공인받았고, 세계 기록 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정답 ②
(①도 복수정답 처리할 가능성이 높음)
9. 조선시대 지도와 천문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대동여지도는 거리를 알 수 있도록 10리마다 눈금을 표시하였다.
→ O(김정호의 대동여지도에는 거리를 알 수 있도록 10리마다 눈금에 표시되어 있다)
②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는 중국에서 들여온 곤여만국전도를 참고하였다.
→ X(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는 태종 때 완성된 세계 지도이고, 곤여만국전도는 조선 후기에 전래된 서양식 지도이다)
③ 천상열차분야지도는 하늘을 여러 구역으로 나누고 별자리를 표시한 그림이다.
→ O(조선 태조 때 만들어진 천상열차분야지도는 하늘을 여러 구역으로 나누고 별자리를 표시한 일종의 천문도이다)
④ 동국지도는 정상기가 실제 거리 100리를 1척으로 줄인 백리척을 적용하여 제작하였다.
→ O(정상기는 동국지도에서 최초로 100리척을 사용하여 과학적인 지도 제작에 공헌하였다)
정답 ②
10. (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미곡을 거둠, 1608년에 시행을 통해 (가)가 대동법임을 알 수 있다. 대동법은 공물로 특산물 대신 쌀, 동전 등을 납부하게 한 것으로, 1608년 광해군 때 경기 지역에서 처음 실시되었다.
① 장시의 확대에 기여하였다.
→ O(대동법 실시로 관청에 물품을 납품하는 공인의 활동이 활발해졌고, 농민도 세금 납무를 위해 특산물을 시장에 팔면서 장시가 점차 확대되었다)
② 지주에게 결작을 부과하였다.
→ X(결작은 균역법 실시에 따른 재정 부족을 보충하기 위해 실시한 것이다)
③ 공납의 폐단을 막기 위해 실시하였다.
→ O(대동법은 방납 등 공납의 폐단을 막기 위해 실시된 것이다)
④ 공인에게 비용을 지급하고 필요 물품을 조달하였다.
→ O(대동법으로 특산물 대신 미곡 등을 거두게 되자 관청은 필요한 물품을 조달하기 위해 공인에게 비용을 지급하고 물품을 구하게 하였다)
정답 ②
'국가직 한국사 > 2023'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국가직 9급 공무원 한국사('나'책형)_16~20번 풀이 (0) | 2023.04.14 |
---|---|
2023년 국가직 9급 공무원 한국사('나'책형)_11~15번 풀이 (0) | 2023.04.14 |
2023년 국가직 9급 공무원 한국사('나'책형)_1~5번 풀이 (0) | 2023.04.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