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다음 유물이 사용된 시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미송리식 토기, 붉은 간 토기는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토기이다. 미송리식 토기는 만주에서 한반도 전역에 이르는 넓은 지역에서 출토되고, 붉은 간토기는 여주 흔암리, 부여 송국리 유적에서 많이 출토된다.
① 비파형 동검이 사용되었다.
→ O(비파형 동검은 만주에서 한반도 전역에 이르는 지역에서 출토되는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유물이다)
② 오수전 등의 화폐가 사용되었다.
→ X(오수전 등 중국 화폐는 한반도의 철기 시대 유적에서 출토되는데, 이를 통해 철기 시대에 중국과 교류하였음을 알 수 있다)
③ 아슐리안형 주먹도끼가 사용되었다.
→ X(아슐리안형 주먹도끼는 구석기 시대의 유물로, 경기 연천 전곡리에서 출토되었다)
④ 철이 많이 생산되어 낙랑과 왜에 수출되었다.
→ X(철이 많이 생산되어 낙랑과 왜에 수출한 대표적인 나라는 변한이다)
정답 ①
2. 밑줄 친 ‘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매년 봄부터 가을까지 관청의 곡식을 백성에게 빌려주고 이후 상환하게 한다는 것을 통해 밑줄 친 ‘왕’이 고구려 고국천왕임을 알 수 있다.
① 낙랑군을 축출하였다.
→ 미천왕(낙랑군을 축출한 고구려 왕은 미천왕이다)
② 진대법을 시행하였다.
→ 고국천왕(제시문은 고국천왕 때 실시된 빈민 구휼 제도인 진대법에 대한 것이다)
③ 백제의 침입으로 전사하였다.
→ 고국원왕(백제 근초고왕의 침입으로 전사한 고구려 왕은 고국원왕이다)
④ 영락이라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다.
→ 광개토 대왕(영락이라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한 고구려 왕은 광개토 대왕이다)
정답 ②
3. (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신돈을 통해 (가)가 전민변정도감임을 알 수 있다. 고려 공민왕은 신돈을 등용하고 전민변정도감을 설치하였다.
① 시전의 물가를 감독하는 임무를 담당하였다.
→ X(고려 시대에 시전의 물가를 감독하는 임무를 담당한 기구는 상평창이다)
② 국가재정의 출납과 회계 업무를 총괄하였다.
→ X(고려 시대에 국가 재정의 출납, 회계 업무를 총괄한 기구는 삼사이다)
③ 불법적으로 점유된 토지와 노비를 조사하였다.
→ O(전민변정도감은 권력가가 불법으로 점유한 토지와 노비를 조사하여 이를 원래대로 되돌리기 위해 설치된 것이다)
④ 부족한 녹봉을 보충하고자 관료에게 녹과전을 지급하였다.
→ X(무신 정변으로 전시과 체제가 붕괴되어 관리들에게 토지를 지급하기 어려워지자 일시적으로 관리의 생계를 위해 경기 8현에 한정하여 녹과전을 지급하였다)
정답 ③
4. 다음과 같이 말한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우리나라가 곧 고구려의 옛 땅, 여진이 몰래 점거를 통해 제시문과 같이 말한 인물이 고려 시대의 서희임을 알 수 있다. 거란이 고려가 차지하고 있는 옛 고구려 땅을 내놓을 것과 송과 외교를 단절하고 자신들과 교류할 것을 요구하며 쳐들어왔다(거란의 제1차 침입).
① 목종을 폐위하였다.
→ X(목종을 폐위한 인물은 강조이다. 강조의 정변은 거란의 제2차 침입의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② 귀주에서 거란군을 물리쳤다.
→ X(귀주에서 거란군을 물리친 인물은 강감찬이다)
③ 여진을 몰아내고 동북 9성을 쌓았다.
→ X(별무반을 이끌고 가서 여진을 몰아내고 동북 9성을 쌓은 인물은 윤관이다)
④ 소손녕과 담판하여 강동 6주를 획득하였다.
→ O(거란의 제1차 침입 때 서희가 소손녕과 담판을 벌여 고려가 고구려의 후예이고, 거란과 교류하지 못하는 것은 여진 때문이라고 주장하였다. 그 결과 강동 6주를 얻을 수 있었다)
정답 ④
5. 밑줄 친 ‘이곳’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장수왕이 천도한 곳, 묘청이 천도를 주장한 곳은 평양이다. 장수왕은 남진 정책의 일환으로 고구려의 수도를 국내성에서 평양으로 옮겼고, 고려 시대에 묘청은 서경 천도 운동을 전개하였는데 서경은 지금의 평양이다
① 쌍성총관부가 설치되었다.
→ X(쌍성총고나부가 설치된 곳은 화주(영흥)이다)
② 망이·망소이가 반란을 일으켰다.
→ X(망이·망소이가 반란을 일으킨 곳은 공주 명학소이다)
③ 제너럴 셔먼호 사건이 발생하였다.
→ O(미국이 통상을 요구하며 제너럴셔먼호 사건을 일으킨 곳은 평양이다)
④ 1923년 조선 형평사가 결성되었다.
→ X(백정에 대한 사회적 차별 철폐를 위해 조선 형평사가 결성된 곳은 진주이다)
정답 ③
'국가직 한국사 > 2023'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국가직 9급 공무원 한국사('나'책형)_16~20번 풀이 (0) | 2023.04.14 |
---|---|
2023년 국가직 9급 공무원 한국사('나'책형)_11~15번 풀이 (0) | 2023.04.14 |
2023년 국가직 9급 공무원 한국사('나'책형)_6~10번 풀이 (0) | 2023.04.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