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방직 한국사/2021

2021년 소방직 한국사 해설_6~10번

by 데일리히스토리 2023. 2. 18.
반응형

 

6. 다음 사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천개, 천견충의군을 통해 제시된 사건이 묘청의 난(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임을 알 수 있다. 서경 천도를 주장하던 묘청은 개경파의 반대로 중단되자 국호를 대위국, 연호를 천개, 군대를 천견충의군이라고 하여 난을 일으켰다.

 

① 김부식이 이끄는 관군에게 진압당하였다.

→ O(묘청이 일으킨 난은 개경파인 김부식이 이끈 관군에 의해 1년 만에 진압되었다)

 

② 이자겸이 척준경을 끌어들여 난을 일으켰다.

→ X(이자겸은 척준경을 끌어들여 난을 일으켜 왕위 찬탈을 시도하였다)

 

③ 정중부, 이의방 등 무신들이 정권을 장악하였다.

→ X(정중부, 이의방 등 무신들이 정권을 장악한 사건은 무신 정변이다)

 

④ 최우는 교정도감 외에 정방과 삼별초를 설치하였다.

→ X(최충헌 이후 정권을 잡은 최우는 정방, 삼별초 등을 설치하여 최씨 무신 정권을 더욱 강화하였다)

 

정답 ①


7. (가)와 (나) 사건 사이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가) 강감찬을 통해 거란의 제3차 침입에 대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거란의 제3차 침입 때 고려의 강감찬이 군대를 이끌고 귀주에서 거란군을 섬멸하였다(귀주 대첩).

 

(나) 윤관, 신기군, 신보군, 항마군을 통해 별무반 편성에 대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고려는 여진과의 1차 접촉에서 패하고 숙종 때 윤관의 건의에 따라 신기군, 신보군, 항마군을 구성된 별무반을 조직하였다.

 

① 여진을 몰아내고 동북 9성을 설치하였다.

→ X(윤관이 별무반을 이끌고 여진을 공격하여 이들을 몰아내고 동북 9성을 설치하였다. 이는 (나) 이후의 일이다)

 

② 공을 세운 신하들에게 역분전을 지급하였다.

→ X(태조 왕건은 공을 세운 신하들에게 역분전을 지급하였는데, 이는 (가) 이전의 일이다)

 

③ 압록강에서 도련포에 이르는 천리장성을 축조하였다.

→ O(귀주 대첩 이후 고려는 거란과 여진의 침입에 대비하기 위해 압록강에서 도련포에 이르는 천리장성을 축조하였다)

 

④ 친원적 성향이 강한 권문세족이 지배세력으로 등장하였다.

→ X(몽골과 화친을 맺은 후 고려에서는 친원적 성향의 권문세족이 지배 세력을 등장하였다. 이는 (나) 이후의 일이다)

 

정답 ③


8. (가)에 들어갈 기관은?

가난한 백성 진료를 통해 (가) 기관이 동·서 대비원임을 알 수 있다.

 

① 의창

→ X(의창은 태조 왕건 때 설치되었던 흑창이 확대·개편된 것이었다)

 

② 흑창

→ X(흑창은 태조 왕건이 설치하였던 빈민 구제 기관이다)

 

③ 상평창

→ X(상평창은 물가 조절 기관으로 개경, 서경, 12목에 설치되었다)

 

④ 동·서 대비원

→ O(동·서 대비원은 고려 시대에 빈민 치료를 위해 개경과 서경에 설치되었다)

 

정답 ④


9. (가)에 들어갈 말로 옳지 않은 것은?

조선 시대에는 수령 칠사라 하여 수령이 행해야 하는 일곱 가지 업무가 있었다.

 

① 호구를 늘게 하는 것

→ O(수령 칠사 중에는 호구증이라고 하여 호구를 늘려야 한다는 것이 있었다)

 

② 학교 교육을 장려하는 것

→ O(수령 칠사 중에는 학교흥이라고 하여 학교 교육을 장려해야 한다는 것이 있었다)

 

③ 수령의 비리를 감찰하는 것

→ X(수령 칠사는 수령이 실시해야 하는 일을 가리키는 것으로, 수령의 비리를 감찰한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조선 시대에 수령을 감찰하는 역할을 한 것은 관찰사, 유향소 등이다)

 

④ 공정하게 세금을 징수하는 것

→ O(수령 칠사 중에는 부역균이라고 하여 세금을 공정하게 부과하고 징수해야 한다는 것이 있었다)

 

정답 ④


10. (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변방의 방비를 담당하는 것은 비변사이다. 비변사는 군사 문제를 담당하는 임시 기구였으나 양난을 거치며 기능이 강화되어 거의 모든 정무를 총괄하게 되었다.

 

① 임진왜란 중에 설치되었다.

→ X(비변사는 3포 왜란 때 설치되었고, 임진왜란을 거치며 기능이 강화되었다)

 

② 흥선 대원군 때 축소·폐지되었다.

→ O(비변사가 강화되면서 왕권이 약화되고 의정부와 6조 중심의 행정 체계가 유명무실화되자 흥선 대원군이 이를 축소·폐지하였다)

 

③ 여론을 이끄는 언론 활동을 하였다.

→ X(조선 시대에 언론 활동을 담당한 기관은 3사이다)

 

④ 붕당 정치가 형성되는 배경이 되었다.

→ X(이조 전랑 임명 문제, 척신 정치 청산 문제를 둘러싸고 사림이 동인과 서인 등으로 분당되어 붕당 정치가 형성되었다)

 

정답 ②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