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방직 한국사/2021

2021년 소방직 한국사 해설_11~15번

by 데일리히스토리 2023. 2. 18.
반응형

 

 

 

11. (가)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성학십도』를 통해 (가) 인물이 이황임을 알 수 있다. 이황은 군주 스스로 노력하여 성학을 따라야 한다는 주장을 담아 『성학십도』를 저술하였다.

 

① 여전론을 주장하였다.

→ 정약용(농지 공동 소유, 노동량에 따른 차등 분배를 주장한 여전론은 정약용의 토지 개혁론이다)

 

② 강화 학파를 형성하였다.

→ 정제두(양명학을 연구하고 강화 학파를 형성한 인물은 정제두이다)

 

③ 일본의 성리학 발달에 영향을 주었다.

→ 이황(이황의 성리학 사상은 조선 성리학의 주류가 되었고, 일본의 성리학 발달에 영향을 주었다)

 

④ ‘이’와 ‘기’를 통일적으로 이해하면서 ‘기’를 중시하였다.

→ 이이(‘기’를 중시한 인물은 이이이다. 이황은 ‘이’를 중시하였다)

 

정답 ③


12. 밑줄 친 ‘반란’에 대한 정부의 대책으로 옳은 것은?

진주, 백낙신을 통해 밑줄 친 ‘반란’이 임술 농민 봉기임을 알 수 있다. 철종 때 백낙신의 수탈을 견디다 못한 농민들이 진주에서 봉기를 일으켰다.

 

① 호패법을 도입하였다.

→ X(농민 이탈 방지를 위해 호패법을 실시한 것은 태종 때의 일이다)

 

② 집강소를 설치하였다.

→ X(동학 농민 운동 때 동학 농민군은 농민 자치 기구인 집강소를 설치하였다)

 

③ 연분9등법을 마련하였다.

→ X(세종 때 풍흉에 따라 세금을 차등적으로 수취하는 연분9등법을 마련하였다)

 

④ 삼정이정청을 설치하였다.

→ O(임술 농민 봉기를 수습하기 위해 정부는 삼정이정청을 설치하여 삼정의 문란을 시정할 것을 약속하였다)

 

정답 ④


13. 다음 사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우정국, 홍영식을 통해 제시된 사건이 갑신정변임을 알 수 있다. 김옥균, 홍영식 등 급진 개화파는 우정국 개국 축하연을 이용하여 갑신정변을 일으켰다.

 

① 한성 조약 체결의 계기가 되었다.

→ 갑신정변(갑신정변 이후 조선은 일본에 배상금을 지불하고 일본 공사관의 신축 비용을 부담한다는 내용의 한성 조약을 체결하였다)

 

② 보국안민, 제폭구민을 기치로 내걸었다.

→ 동학 농민 운동(보국안민, 제폭구민을 기치로 내건 것은 동학 농민 운동이다)

 

③ 최익현 등의 유생들에 의해 주도되었다.

→ 위정척사 운동, 을미의병(최익현 등의 유생들이 주도한 것으로는 위정척사 운동, 을미의병 등이 있다)

 

④ 구식 군인에 대한 차별 대우가 발단이 되었다.

→ 임오군란(구식 군인에 대한 차별 대우가 발단이 되어 일어난 사건은 임오군란이다)

 

정답 ①


14. (가) 단체의 활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만민 공동회를 통해 (가) 단체가 독립 협회임을 알 수 있다. 만민 공동회는 독립 협회가 개최한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적 민중 집회였다.

 

① 만주에 독립군 기지를 마련하였다.

→ 신민회(만주에 독립군 기지를 마련한 대표적인 단체는 신민회이다)

 

② 고종 퇴위 반대 운동을 전개하였다.

→ 대한 자강회(고종 퇴위 반대 운동을 주도하다가 해산된 단체는 대한 자강회이다)

 

③ 일본의 황무지 개간권 요구에 반대하였다.

→ 보안회(일본의 황무지 개간권 요구에 반대하여 이를 철회시킨 단체는 보안회이다)

 

④ 자유 민권 운동과 의회 설립 운동을 추진하였다.

→ 독립 협회(독립 협회는 근대적 자주 독립 국가 건설을 목표로 자유 민권 운동, 의회 설립 운동 등을 추진하였다)

 

정답 ④


15. (가)∼(라)의 사건을 발생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가) 만주, 연해주 지역의 독립군이 국내 진입 작전을 감행하자 일본군이 독립군을 추격하여 봉오동을 기습 공격하였으나 패하였다(봉오동 전투, 1920. 6.).

 

(다) 봉오동 전투에서 패한 일본군이 보복을 위해 독립군을 공격하였으나 독립군 연합 부대는 청산리에서 일본군에 대승을 거두었다(청산리 전투, 1920. 10.).

 

(나) 일제는 봉오동·청산리 전투에 대해 보복하고자 간도 참변을 일으켰고, 피해를 입은 다수의 독립군이 일제를 피해 자유시로 이동하였다. 그러나 이곳에서 러시아의 내전과 독립군 내부의 갈등으로 충돌이 일어나 많은 독립군이 희생되었다(자유시 참변, 1921).

 

(라) 간도 참변, 자유시 참변을 겪은 이후 독립군은 재정비를 하여 참의부, 정의부, 신민부의 3부가 성립되었다. 이후 3부 통합 운동이 추진되었는데, 완전한 통합에는 실패하여 혁신 의회, 국민부가 결성되었다(1928~1929).

 

(가)~(라)의 사건을 발생 순서대로 나열하면 (가) → (다) → (나) → (라)이다.

 

정답 ①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