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방직 한국사/2021

2021년 소방직 한국사 해설_1~5번

by 데일리히스토리 2023. 2. 18.
반응형

 

 

 

 

 

1. (가) 시대에 볼 수 있는 모습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간석기를 통해 (가) 시대가 신석기 시대임을 알 수 있다. 신석기 시대에는 돌을 갈아서 만든 간석기를 사용하였다.

 

① 계절제를 주관하는 천군

→ 철기 시대(제천 행사인 계절제를 실시한 나라는 삼한이고, 이 때는 철기 시대이다)

 

② 가락바퀴를 사용하는 사람

→ 신석기 시대(신석기 시대에는 식물에서 뽑은 가느다란 섬유를 꼬아서 실을 만드는 도구인 가락바퀴를 사용하였는데, 이를 통해 원시적 수공업이 실시되었음을 알 수 있다)

 

③ 부족을 지배하는 읍군과 삼로

→ 철기 시대(읍군과 삼로가 있었던 나라는 옥저와 동예이고, 이 때는 철기 시대이다)

 

④ 비파형 동검을 보고 있는 군장

→ 청동기 시대(비파형 동검을 만들고 정치적 지배자인 군장인 있었던 것은 청동기 시대의 일이다)

 

정답 ②


2. (가)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여자가 어릴 때 혼인을 약속하고 신랑 집에서 길러 아내로 삼는 것은 옥저의 민며느리제이다.

 

① 농경과 관련하여 동맹이라고 하는 제천행사가 있었다.

→ 고구려(동맹이라는 제천 행사가 있엇던 나라는 고구려이다)

 

② 대가들의 호칭에 말, 소, 돼지, 개 등의 가축 이름을 붙였다.

→ 부여(대가들의 호칭을 가축 이름을 딴 마가, 우가, 저가, 구가 등으로 부른 나라는 부여이다)

 

③ 단궁, 반어피(바다표범 가죽), 과하마 등의 특산물로 중국과 교역하였다.

→ 동예(당군, 반어피, 과하마 등은 동예의 특산물이다)

 

④ 시체를 가매장하였다가 뼈만 추려 가족 공동 무덤인 큰 나무 덧널에 넣었다.

→ 옥저(옥저에서는 가족이 죽으면 시체를 가매장하였고, 뼈만 추려 가족 공동 무덤에 안치하였다)

 

정답 ④


3. 밑줄 친 ‘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신라를 구원, 왜적을 물러가게 하였다는 것을 통해 밑줄 친 ‘왕’이 고구려 광개토 대왕임을 알 수 있다. 왜구의 침입을 받은 신라가 고구려에 도움을 요청하자 광개토 대왕이 군대를 파견하여 왜적을 물리쳤다.

 

① 태학을 설립하였다.

→ 소수림왕(우리나라 최초의 국립 대학인 태학을 설립한 왕은 고구려 소수림왕이다)

 

② 대가야를 정복하였다.

→ 진흥왕(대가야를 정복한 왕은 신라 진흥왕이다)

 

③ 관산성에서 전사하였다.

→ 성왕(관산성에서 신라와 전투를 벌이다 전사한 왕은 백제 성왕이다)

 

④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다.

→ 광개토 대왕(광개토 대왕은 영락이라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다)

 

정답 ④


4. 다음 내용을 실시한 왕의 업적으로 옳은 것은?

반역자 흠돌, 녹읍을 없앴다는 것을 통해 제시된 내용을 실시한 왕이 통일 신라 신문왕임을 알 수 있다. 신문왕은 장인인 김흠돌의 모역 사건을 계기로 귀족 세력을 숙청하고, 녹읍을 폐지해 국가의 경제력을 강화하였다.

 

① 삼국 통일을 이룩하였다.

→ 문무왕(신라의 삼국 통일은 태종 무열왕 때 시작되었고, 문무왕 때 당을 축출하면서 완성되었다)

 

② 국학을 설치하여 관료를 양성하였다.

→ 신문왕(신문왕은 유교 정치 이념을 확립하기 위해 국학을 설치하고 관료를 양성하였다)

 

③ 한강을 차지하고, 북한산에 순수비를 세웠다.

→ 진흥왕(한강을 차지하여 직접 돌아본 뒤 북한산에 순수비를 세운 왕은 진흥왕이다)

 

④ 국호를 신라로 확정하고, 왕의 호칭을 사용하였다.

→ 지증왕(국호를 신라로 확정하고, 마립간 대신 왕의 호칭을 사용한 왕은 지증왕이다)

 

정답 ②


5. 밑줄 친 ‘정책’에 해당하는 것은?

태조 사후 혼란스러운 왕위 쟁탈전을 겪었던 광종은 왕권 강화, 중앙 집권화를 위한 개혁을 실시하였다.

 

① 정방을 폐지하였다.

→ 공민왕(정방을 폐지하여 인사권을 회수한 것은 공민왕의 정책이다)

 

② 양현고를 설치하였다.

→ 예종(양현고를 설치하여 관학의 경제 기반을 강화한 것은 예종의 정책이다)

 

③ 과거제를 실시하였다.

→ 광종(광종은 후주에서 귀화한 쌍기의 건의를 받아들여 관리 선발 제도인 과거제를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신구 세력의 교체를 도모하였다)

 

④ 서경 천도를 추진하였다.

→ 정종(고려 시대에 서경 천도를 계획한 왕은 정종이다)

 

정답 ③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