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밑줄 친 ‘이 나라’에서 볼 수 있는 모습으로 적절한 것은?

대군왕이 없고, 장사를 지낼 때 큰 나무 곽을 만든다는 내용을 통해 밑줄 친 이 나라가 옥저임을 알 수 있습니다. 옥저는 읍군, 삼로 등의 군장이 통치하는 군장 국가로, 고구려의 압력을 받아 더 이상 성장하지 못하고 군장 군가 단계에서 멸망하였습니다. 한편 옥저에서는 가족이 죽으면 시체를 가매장하였다가 나중에 그 뼈를 추려서 가족 공동 무덤인 커다란 목곽에 안치하였습니다.
① 민며느리를 받아들이는 읍군
→ 옥저(옥저의 혼인 풍속인 민며느리제는 여자가 어렸을 때 남자 집에 가서 살다가 성장한 후 남자가 여자 집에 예물을 치르고 혼인하는 일종의 매매혼이었습니다)
② 위만에게 한나라의 침입을 알리는 장군
→ 위만 조선(중국의 한은 위만 조선의 발전에 불안을 느끼고 위만 조선을 공격하였습니다)
③ 5월에 씨를 뿌리고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천군
→ 삼한(삼한에서는 해마다 5월에 계절제를 열어 하늘에 제사를 지냈습니다)
④ 국가의 중요한 일을 논의하고 있는 마가와 우가
→ 부여(부여에서는 왕 아래에 가축의 이름을 딴 마가, 우가, 저가, 구가 등의 관리가 있었습니다)
정답은 ①입니다.
7. 다음 사건이 일어난 왕의 재위 기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임꺽정을 통해 제시문의 사건이 일어난 시기가 조선 명종 대임을 알 수 있습니다. 16세기 이후 수취 체제의 문란으로 농민 생활이 악화되었고, 이에 명종 때 임꺽정 등의 도적이 나타났습니다.
① 동인과 서인의 붕당이 형성되었다.
→ 선조(사림이 동인과 서인으로 분화되어 붕당이 형성된 것은 선조 때의 일입니다)
② 문정왕후가 수렴청정하며 불교를 옹호하였다.
→ 명종(문정 왕후는 명종의 모후로, 불교를 옹호해 승려인 보우가 중용되고 승과 제도가 부활하는 등 불교 회복 정책을 실시하였습니다)
③ 삼포에서 4~5천 명의 일본인이 난을 일으켰다.
→ 중종(삼포에서 일본인들이 난을 일으킨 삼포왜란은 중종 때 일어났습니다)
④ 조광조가 내수사 장리의 폐지, 소격서 폐지 등을 주장하였다.
→ 중종(중종 때 조광조는 민생 안정책의 일환으로 내수사 장리를 폐지할 것과 성리학적 도학 정치를 강조하기 위해 소격서를 폐지할 것을 주장하였습니다)
정답은 ②입니다.
8. 밑줄 친 ‘이 부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윤관을 통해 밑줄 친 이 부대가 별무반임을 알 수 있습니다. 별무반은 숙종 때 윤관의 주장에 따라 여진을 정벌하기 위해 편성된 군대였습니다.
① 정종 2년에 설치되었다.
→ 광군(정종 2년에 거란의 침입에 대비하기 위해 특수군이 광군이 설치되었습니다)
② 귀주대첩에서 큰 활약을 하였다.
→ 강감찬(거란의 제3차 침입 때 강감찬이 지휘하는 고려군이 귀주에서 거란군을 크게 격퇴하였습니다)
③ 여진족에 대처하기 위해 조직되었다.
→ 별무반(고려는 여진과의 1차 접촉에서 패한 후 윤관의 건의에 따라 여진에 대항하기 위해 신기군, 신보군, 항마군으로 구성된 별무반을 조직하였습니다)
④ 응양군, 용호군, 신호위 등의 2군과 6위로 편성되었다.
→ 고려 중앙군(고려 중앙군은 국왕 친위대인 응양군, 용호군의 2군과 개경과 변방 수비를 담당하는 좌우위·신호위·흥위위, 경찰 부대인 금오위, 의장대인 천우위, 궁성 수비를 담당한 감문위의 6위로 구성되었습니다)
정답은 ③입니다.
9. 밑줄 친 ‘이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삼한의 종족이며, 고령에 있었다는 것을 통해 밑줄 친 이 나라가 대가야임을 알 수 있습니다. 후기 가야 연맹을 주도한 대가야는 고령 지방을 중심으로 성장하였습니다.
① 관산성 전투에서 국왕이 전사하였다.
→ 백제(백제 성왕은 신라에 빼앗긴 한강 유역을 되찾기 위해 신라를 공격하였으나 관산성 전투에서 전사하였습니다. 대가야도 백제를 도와 관산성 전투에 참전하였으나 국왕이 전사하지는 않았습니다)
② 울릉도를 정복해서 영토로 편입하였다.
→ 신라(신라 지증왕은 이사부를 파견하여 우산국(울릉도)을 복속하였습니다)
③ 호남 동부 지역까지 세력을 확장하였다.
→ 대가야(대가야는 중국 남제와 수교하고 백제·신라와 동맹하는 등 크게 성장하였고, 호남 동부 지역까지 세력을 확장하였습니다)
④ 신라를 도와 낙동강 유역에 진출한 왜를 격파하였다.
→ 고구려(고구려 광개토 대왕은 신라의 구원 요청에 따라 군대를 파견하여 낙동강 유역에 진출한 왜를 격파하였습니다)
정답은 ③입니다.
10.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발해 왕의 재위 기간에 통일 신라에서 일어난 상황으로 옳은 것은?

대흥 연호, 수도 천도, 당 문물 도입을 통해 발해 문왕(737~793)에 대한 내용임을 알 수 있습니다. 발해 문왕은 대흥이라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고, 지배 체제 정비의 일환으로 수도를 여러 차례 옮겼습니다. 또한 친당 외교를 전개해 당의 문물을 받아들여 통치 체제를 정비하였습니다.
① 녹읍 폐지
→ 689년(통일 신라 신문왕(681~692) 때 문무 관리에게 관료전을 지급(687)하고 귀족의 경제적 기반인 녹읍을 폐지하였습니다)
② 청해진 설치
→ 828년(통일 신라 흥덕왕(826~836) 때 장보고의 건의에 따라 완도에 청해진을 설치하였습니다)
③ 『삼대목』 편찬
→ 888년(통일 신라 진성 여왕(887~897) 때 각간 위홍과 대구 화상이 향가집인 『삼대목』을 편찬하였습니다)
④ 독서삼품과 설치
→ 788년(통일 신라 원성왕(780~798) 때 유교 경전의 이해 수준을 시험하여 관리로 채용하는 독서삼품과를 설치하였습니다)
정답은 ④입니다.
'지방직 한국사 > 2020'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 지방직 9급 공무원 한국사('B'책형)_16~20번 풀이 (0) | 2023.01.12 |
---|---|
2020년 지방직 9급 공무원 한국사('B'책형)_11~15번 풀이 (0) | 2023.01.12 |
2020년 지방직 9급 공무원 한국사('B'책형)_1~5번 풀이 (0) | 2023.01.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