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방직 한국사/2020

2020년 지방직 9급 공무원 한국사('B'책형)_1~5번 풀이

by 데일리히스토리 2023. 1. 12.
반응형

 

1. 밑줄 친 ‘왕’의 재위 기간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거칠부, 역사 편찬을 통해 밑줄 친 왕이 신라 진흥왕임을 알 수 있습니다. 진흥왕은 왕권 강화 차원에서 거칠부에게 역사서인 『국사』를 편찬하도록 하였습니다. 

① 정전 지급

→ 성덕왕(성덕왕은 백성들에게 정전을 지급하여 국가의 토지 지배력을 확보하고자 하였습니다)

② 국학 설치

→ 신문왕(신문왕은 유교 정치 이념을 확립하기 위해 국학을 설치하였습니다)

③ 첨성대 건립

→ 선덕 여왕(선덕 여왕 때 건립된 첨성대는 동양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천문 관측 시설입니다)

④ 북한산 순수비 건립

→ 진흥왕(진흥왕은 직접 개척한 영토를 돌아보고 이를 기념하기 위해 순수비를 건립하였습니다)

정답은 ④입니다.

 

2. 다음 정책을 시행한 국왕 대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광덕, 준풍, 황도, 서도를 통해 제시문의 왕이 고려 광종임을 알 수 있습니다. 광종은 내제외왕 체제에 따라 광덕, 준풍 등의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고, 개경을 황도, 서경을 서도로 개칭하여 자주 국가로서의 면모를 보였습니다. 

① 노비안검법을 시행하였다.

→ 광종(광종은 공신과 호족의 경제적·군사적 기반을 약화하고 국가 재정을 안정하기 위해 노비안검법을 실시하였습니다)

② 전시과 제도를 시행하였다.

→ 경종(경종 때 전·현직 관리들을 대상으로 관직과 인품을 고려해 전지와 시지에 대한 수조권을 지급하는 전시과 제도를 처음 실시하였습니다)

③ 개경에 국자감을 설립하였다.

→ 성종(성종은 개경에 유학 교육 기관인 국자감을 설치하여 교육 제도를 정비하였습니다)

④ 12목을 설치하고 지방관을 파견하였다.

→ 성종(성종은 지방 주요 지역에 12목을 설치하고 지방관을 파견하였습니다)

정답은 ①입니다.

 

3. 다음과 같은 활동을 펼친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유교구신론」을 통해 제시문의 인물이 박은식임을 알 수 있습니다. 박은식은 「유교구신론」에서 유교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유교를 개혁해야 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① 적극적인 의열 활동을 위해 한인애국단을 만들었다.

→ 김구(김구는 침체에 빠진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위상을 높이고 적극적인 의열 활동을 위해 한인 애국단을 조직하였습니다. 대표적으로 이봉창, 윤봉길의 의거가 있습니다)

② 일본의 침략상을 폭로하는 『한국통사』를 저술하였다.

→ 박은식(박은식은 일본의 침략상을 폭로하는 『한국통사』에서 나라는 형체이고, 역사는 정신이라고 강조하였습니다)

③ 실증사학의 입장에서 연구하는 진단학회를 조직하였다.

→ 이윤재, 이병도 등(이윤재, 이병도 등은 청구 학회의 한국사 왜곡에 맞서 진단 학회를 조직하고 한국사에 대한 객관적인 연구 활동을 전개하였습니다)

④ 김원봉의 요청을 받아들여 조선혁명선언을 작성하였다.

→ 신채호(신채호는 김원봉의 요청을 받아들여 의열단의 지침서인 조선혁명선언을 작성하였습니다)

정답은 ②입니다. 

 

4. (가) 단체로 옳은 것은?

조선 여성운동, 조선 자매 전체의 역량 단결을 통해 (가) 단체가 근우회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근우회는 신간회의 자매단체로 여성계의 민족 유일당 운동의 일환으로 조직되었습니다.

① 근우회

→ 여성계의 민족 유일당 운동으로 조직된 근우회는 기관지인 『근우』을 발간하였고, 여성 의식 계몽 운동도 전개하였습니다. 

② 신간회

→ 신간회는 비타협적 민족주의 계열과 사회주의 계열의 일부가 연대하여 조직된 단체였습니다.

③ 신민회

→ 신민회는 실력 양성을 통한 국권 회복과 공화정의 근대 국가 수립을 목표로 한 비밀 결사 단체였습니다. 

④ 정우회

→ 정우회는 사회주의 단체로, 정우회 선언을 발표하여 민족주의 세력과의 연대를 주장하였습니다. 이는 신간회 설립의 계기가 되었습니다. 

정답은 ①입니다. 

 

5. 다음 글에서 설명하고 있는 문화유산은?

경운궁, 석조전을 통해 제시문의 문화유산이 덕수궁임을 알 수 있습니다. 경운궁은 덕수궁의 옛 이름이고, 석조전은 덕수궁에 세워진 르네상스식 건물입니다. 

① 경복궁

→ 경복궁은 조선 전기에 만들어진 정궁으로, 임진왜란 때 불 탄 것을 고종 때 중건하였습니다.

② 경희궁

→ 경희궁은 처음 창건할 때 유사시 왕이 본궁이 떠나 피할 수 있는 곳으로 지었는데, 궁의 규모가 크고 여러 임금이 이 궁에서 정사를 본 적이 많아 서궐이라 불리며 중시되었습니다. 

③ 창덕궁

→ 창덕궁은 건축과 조경이 잘 조화된 중요 문화유산으로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있습니다. 

④ 덕수궁

→ 덕수궁은 월산 대군의 집이 있던 곳으로 임진왜란 이후 선조의 임시 거처로 사용되면서 정릉동 행궁으로 불렸습니다. 이후 광해군 때 경운궁으로 개칭되었고, 순종에게 양위한 고종이 머무르면서 고종의 장수를 빈다는 의미에서 덕수궁으로 바꿨습니다. 

정답은 ④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