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방직 한국사/2020

2020년 지방직 9급 공무원 한국사('B'책형)_16~20번 풀이

by 데일리히스토리 2023. 1. 12.
반응형

 

16. 밑줄 친 ‘그’의 활동으로 옳은 것은?

여러 형제들이 만주로 갈 준비, 신흥 강습소 설립을 통해 밑줄 친 그가 이회영임을 알 수 있습니다. 당시 제일가는 부잣집이었던 이회영 집안은 독립운동을 위해 집안의 막대한 재산을 처분하고 만주로 건너갔고, 그곳에서 무관 양성을 위해 신흥 강습소를 설립하였습니다.

①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옥고를 치렀다.

→ 이윤재, 최현배 등(일제는 조선어 학회를 독립운동 단체로 간주하여 이윤재, 최현배 등의 조선어 학회 회원들을 체포·투옥하였습니다. 이회영은 조선어 학회 사건(1942)이 일어나기 전에 사망하였습니다)

② 독립운동 단체인 경학사를 조직하였다.

→ 이회영(경학사는 이회영·이시영 등 신민회 인사들이 만주 지역에 설립한 최초의 자치 단체였습니다)

③ 3·1운동 민족대표 33인 중 한 명이었다.

→ 이승훈, 한용운 등(3·1 독립 선언서는 최남선이 본문을 작성하고 한용운이 공약 3장을 덧붙였으며, 민족 대표 33인이 서명하였습니다. 이회영은 민족 대표 33인에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④ ‘삼균주의’에 입각한 한국국민당을 결성하였다.

→ 김구(김구는 조소앙의 삼균주의를 바탕으로 한국 국민당을 결성하였습니다)

정답은 ②입니다. 

 

17. 밑줄 친 ‘새 헌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내각 책임 체제, 1960년을 통해 밑줄 친 새 헌법이 제3차 개헌임을 알 수 있습니다. 4·19 혁명으로 이승만이 하야하고 들어선 허정 과도 정부는 내각 책임제와 양원제를 골자로 헌법을 개정하였습니다.

① 임시수도 부산에서 개정되었다.

→ 발췌 개헌(제1차 개헌이기도 한 발췌 개헌은 6·25 전쟁 당시 임시 수도였던 부산에서 제정되었습니다. 발췌 개헌으로 대통령 선거가 직선제로 개정되었습니다)

② ‘사사오입’의 논리로 통과되었다.

→ 사사오입 개헌(제2차 개헌이기도 한 사사오입 개헌은 처음에 정족수 부족으로 부결되었으나 사사오입의 논리에 따라 통과된 것으로 결과가 바뀌었습니다)

③ 통일주체국민회의 설치를 규정한 조항이 있다.

→ 유신 헌법(제7차 개헌이기도 한 유신 헌법에서는 통일 주체 국민회의를 통해 간접 선거로 대통령을 선출하도록 규정되어 있습니다)

④ 민의원과 참의원으로 구성된 국회 조항이 있다.

→ 제3차 개헌(제3차 개헌의 양원제는 국회가 참의원, 민의원의 두 개 의원으로 구성되어 있는 제도입니다)

정답은 ④입니다. 

 


18. 다음 사건 이후에 일어난 일로 옳은 것은?

개경, 홍건적을 통해 제시된 사건이 고려 공민왕 때 일어난 제2차 홍건적의 침입(1361)에 대한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홍건적은 총 2차례 고려에 침입하였는데, 2차 침입 때에는 개경이 함락되고 공민왕이 복주(안동)으로 피신하였습니다.

① 화약 무기를 사용해 진포해전에서 승리하였다.

→ 1380년(우왕 때인 1380년 왜구가 진포로 쳐들어오자 나세, 최무선 등이 화포로 왜구를 무찔렀습니다)

② 처인성 전투에서 적의 장수 살리타를 사살하였다.

→ 1232년(고종 때인 1232년 몽골의 제2차 침입 때 김윤후가 처인성에서 몽골 장수 살리타를 사살하였습니다)

③ 기철 일파를 제거하 쌍성총관부의 관할 지역을 수복하였다.

→ 1356년(공민왕은 반원 자주 정책을 실시하여 1356년에 기철 등 친원 세력을 제거하고, 쌍성총관부를 무력으로 수복하였습니다)

④ 적의 침략을 물리치기 위한 염원에서 팔만대장경을 만들었다.

→ 1236~1251년(고종 때 부처의 힘으로 몽골의 침입을 물리치고자 팔만대장경을 만들었습니다)

정답은 ①입니다.

 

19. (가)와 (나) 사이의 시기에 있었던 일로 옳은 것은?

(가) 허적, 윤휴 등이 처형되었다는 것을 통해 경신환국(1680)임을 알 수 있습니다. 숙종 때 유악 남용 사건, 삼복의 변 등으로 남인인 윤휴와 허적 등이 처형당하고 남인들도 축출되는 경신환국이 일어났습니다.

(나) 인현 왕후 복위, 노론과 소론의 정계 복귀를 통해 갑술환국(1689)임을 알 수 있습니다. 숙종 때 기사환국으로 남인들이 다시 정권을 장악하였는데, 이후 인현 왕후 복위 운동이 전개되어 남인이 몰락하고 노론과 소론 등 서인이 재집권하는 갑술환국이 일어났습니다. 

① 송시열과 김수항 등이 처형당하였다.

→ 1689년(숙종 때 희빈 장씨 아들의 세자 책봉 문제로 서인인 송시열, 김수항 등이 처형되고 남인이 다시 정권을 장악하는 갑술환국이 일어났습니다)

② 서인과 남인이 두 차례에 걸쳐 예송을 전개하였다.

→ 1659, 1674년(효종의 왕위 계승에 대한 정통성과 관련하여 현종 때 두 차례의 예송이 전개되었습니다)

③ 서인 정치에 한계를 느낀 정여립이 모반을 일으켰다.

→ 1589년(선조 때 일어난 정여립 모반 사건으로 동인이 북인과 남인으로 분화되었습니다)

④ 청의 요구에 따라 조총부대를 영고탑으로 파견하였다.

→ 1654, 1658년(효종 때 조선은 청의 요청에 따라 조총 부대를 파견하여 러시아의 침입을 막아냈습니다)

정답은 ①입니다. 

 

20. 다음의 사건을 시기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가) 제헌 국회는 1948년에 실시된 5·10 총선거로 구성되었습니다.

(나) 중도파인 여운형과 김규식은 1946년 10월에 좌우 합작 위원회를 조직하였습니다.

(다) 조선 건국 동맹을 기반으로 1945년 8·15 광복과 함께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가 조직되었습니다.

(라)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 결과 1946년 1월 민주주의 임시 정부 수립을 논의하기 위한 제1차 미·소 공동 위원회가 개최되었습니다.

제시된 사건을 순서대로 나열하면 (다) - (라) - (나) - (가)로, 정답은 ③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