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보기 1>의 밑줄 친 ‘이 법’에 대한 옳은 설명을 <보기 2>에서 모두 고른 것은?

이원익, 공물, 방납인 폐단을 통해 <보기 1>의 밑줄 친 이 법이 대동법임을 알 수 있습니다. 특산물을 납부해야 하는 공납은 이미 많은 백성들에게 부담이었는데, 방납의 폐단까지 더해지자 백성들의 부담은 더욱 커졌습니다. 이에 이원익이 대동법 실시를 건의하였습니다.
ㄱ. 이 법이 실시된 뒤 현물 징수가 완전히 없어졌다.
→ 대동법 실시로 상공은 없어졌으나 부정기적인 별공과 진상 등은 여전히 존재하여 현물 징수가 계속되었습니다.
ㄴ. 처음에는 경기도에서 시험적으로 시행되었다.
→ 대동법(광해군 때 이원익 등의 주장으로 선혜청을 설치하고, 경기도에 한해 대동법을 시험적으로 실시하였습니다)
ㄷ. 과세 기준을 가호 단위에서 토지 결수로 바꾸었다.
→ 대동법(기존 공납이 가호 단위로 현물을 납부하는 것인데 비해 대동법은 토지 결수에 따라 쌀, 동전 등을 납부하도록 하는 것이었습니다)
ㄹ. 풍흉의 정도에 따라 조세 액수를 조정하였다.
→ 연분9등법(풍흉의 정도에 따라 조세 액수를 조정한 것으로는 세종 때 실시된 연분9등법이 있습니다)
정답은 ㄴ, ㄷ으로, ③입니다.
12. <보기>의 유물들이 발견되는 시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이른 민무늬 토기, 덧무늬 토기, 눌러찍기무늬 토기, 빗살무늬 토기는 신석기 시대의 대표적인 유물입니다.
① 세형 동검, 잔무늬 거울 등을 사용하였다.
→ 철기 시대(세형동검, 잔무늬 거울 등은 철기 시대의 유물입니다. 철기 시대에는 청동기 문화가 독자적으로 발전하여 비파형 동검은 세형동검으로, 거친무늬 거울은 잔무늬 거울로 발전하였습니다)
② 고인돌과 돌널무덤을 사용하였다.
→ 청동기 시대(청동기 시대에는 지배층의 권력을 반영한 고인돌이나 일반 서민들도 사용한 돌널무덤 등이 사용되었습니다)
③ 공주 석장리 유적과 청원 두루봉 동굴 유적이 대표적인 유적지이다.
→ 구석기 시대(공주 석장리 유적, 청원 두루봉 유적은 대표적인 구석기 유적지입니다)
④ 갈돌과 갈판 등 간석기를 사용하였다.
→ 신석기 시대(간석기는 신석기 시대의 대표적인 도구로, 갈돌과 갈판은 곡식 껍질을 까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정답은 ④입니다.
13. <보기>에서 설명하는 나라의 법률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영고를 통해 <보기>에서 설명하는 나라가 부여임을 알 수 있습니다. 부여에서는 12월에 영고라는 제천 행사를 열었습니다.
① 남에게 상처를 입힌 자는 곡식으로 갚게 했다.
→ 고조선(남에게 상처를 입힌 자는 곡식으로 갚게 한다는 것은 고조선의 8조법 내용입니다)
② 도둑질을 하면 그 물건의 12배를 변상케 했다.
→ 부여(부여에서는 도둑질을 하면 그 물건의 12배를 배상하게 하는 1책 12법이 있었습니다)
③ 형벌이 매우 엄하여 사람을 죽인 사람은 사형에 처하고 그 집안사람은 노비로 삼았다.
→ 부여(부여에서는 살인자는 사형에 처하고, 그 가족은 노비로 삼았습니다)
④ 남녀 간에 간음을 하거나 투기하는 부인은 모두 죽였다.
→ 부여(부여에서는 간음한 자와 투기가 심한 부인은 사형에 처하였습니다)
정답은 ①입니다.
14. <보기>의 글을 쓴 인물의 주장과 같은 입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우리 역사가 세계사적·일원론적인 역사 법칙에 따라 발전한다는 내용을 통해 <보기>의 글을 쓴 인물이 백남운임을 알 수 있습니다. 백남운 사회 경제 사학의 대표적인 인물로, 한국사가 세계사적인 역사 법칙에 따라 발전했다고 주장하며 식민 사학의 정체성론을 비판하였습니다.
① 민족 정신을 강조하여 우리의 고유한 특색과 전통을 찾았다.
→ 민족주의 사학(민족 문화의 우수성과 민족 고유의 특색과 전통을 강조하는 것은 민족주의 사학입니다)
② 신채호와 박은식의 사학을 계승하였다.
→ 조선학 운동, 신민족주의 사학(신채호와 박은식은 대표적인 민족주의 사학자로, 민족주의 사학을 계승한 것으로는 조선학 운동, 신민족주의 사학이 있습니다)
③ 역사학의 주관적 해석을 배제하고 문헌 고증을 중시하였다.
→ 실증 사학(역사적 사실을 문헌 고증을 통해 실증적·객관적으로 밝히려는 역사 연구는 실증 사학입니다)
④ 한국사의 발전과정을 사회 경제 사학의 관점에서 서술하였다.
→ 사회 경제 사학(한국사의 발전 과정을 사회 경제 사학의 관점에서 세계사적 보편성 위에 체계화하려는 역사 연구는 사회 경제 사학입니다)
정답은 ④입니다.
15. <보기>의 사건들을 시간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ㄱ. 신라-건원(建元)이라는 독자적인 연호를 만들었다.
→ 536년(신라 법흥왕은 건원이라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습니다)
ㄴ. 가야-대가야가 멸망하면서 가야 연맹이 완전히 해체되었다.
→ 562년(신라 진흥왕 때 대가야를 정복하면서 가야 연맹이 완전히 해체되었습니다)
ㄷ. 고구려-낙랑군을 완전히 몰아내고 대동강 유역을 확보하였다.
→ 313년(고구려 미천왕 때 낙랑군을 축출하고 낙동강 유역을 확보하였습니다)
ㄹ. 백제-수도인 한성이 함락되고 왕이 죽자 도읍을 웅진으로 옮겼다.
→ 475년 제 개로왕 때 고구려 장수왕의 침입으로 수도 한성이 함락되고 왕이 죽자 도읍을 웅진으로 옮겼습니다)
<보기>의 사건들을 시간 순으로 나열하면 ㄷ - ㄹ - ㄱ - ㄴ으로, 정답은 ③입니다.
'서울시 한국사 > 2020'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 서울시 9급 공무원 한국사('B'책형)_16~20번 풀이 (0) | 2023.01.29 |
---|---|
2020년 서울시 9급 공무원 한국사('B'책형)_6~10번 풀이 (0) | 2023.01.29 |
2020년 서울시 9급 공무원 한국사('B'책형)_1~5번 풀이 (0) | 2023.01.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