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보기1>의 밑줄 친 ‘이 왕’의 업적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2>에서 모두 고르면?
직전법을 통해 밑줄 친 ‘이 왕’이 조선 세조임을 알 수 있다. 세조는 현직 관리에게만 토지를 지급하는 직전법을 실시하고, 수신전, 휼양전을 폐지하였다.
ㄱ. 상서사에서 맡고 있던 인사권을 이조와 병조에 귀속시켜 6조의 기능을 강화하였다.
→ X(상서사의 인사권을 이조, 병조에 귀속시켜 6조의 기능을 강화한 왕은 조선 태종이다)
ㄴ. 6조 판서들이 국왕에게 직접 보고하는 제도를 부활하여 왕권을 강화하였다.
→ O(세조는 6조 판서들이 국왕에게 직접 보고하는 6조 직계제를 부활하여 왕권을 강화하였다)
ㄷ. 문하부의 낭사를 사간원으로 독립시켜 언론 기능을 강화하고 대신들을 견제하도록 하였다.
→ X(왕권 강화를 위해 문하부의 낭사를 사간원으로 독립시켜 대신들을 견제한 왕은 조선 태종이다)
ㄹ. 국경 지대에서 시행되던 방어체제를 전국으로 확대하여 지역 중심 방어체제로 개편하였다.
→ O(세조는 지역 중심 장어 체제인 진관 체제를 실시하였다)
정답 ④
2. (가)와 (나) 사이의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가) 김춘추, 당을 통해 나당 동맹(648)에 대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진덕 여왕 때 김춘추는 당으로 가서 나당 동맹을 결성하였다.
(나) 매소성을 통해 매소성 전투(675)에 대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신라는 당의 대군을 매소성에서 격파하여 나당 전쟁의 주도권을 잡았다.
① 대조영이 발해를 건국하였다.
→ X(대조영이 발해를 건국한 것은 698년의 일로, (나) 이후이다)
② 백제가 멸망하였다.
→ O(나당 동맹 이후 조직된 나당 연합군은 먼저 백제를 공격하여 멸망시켰다)
③ 신라가 대가야를 병합하였다.
→ X(신라가 대가야를 병합한 것은 진흥왕 때의 562년의 일로, (가) 이전이다)
④ 신라에서 녹읍이 폐지되었다.
→ X(신라가 녹읍을 폐지한 것은 신문왕 때의 일로, (나) 이후이다)
⑤ 고구려가 살수에서 수의 군대를 격퇴하였다.
→ X(고구려가 살수 대첩에서 수의 군대를 격퇴한 것은 612년의 일로, (가) 이전이다)
정답 ②
3. 다음과 같은 변화가 나타난 시기의 사실로 옳은 것은?
이사금이라는 칭호가 마립간으로 바뀐 것은 신라 내물 마립간 때의 일이다. 내물 마립간은 왕의 칭호를 이사금에서 대군장을 뜻하는 마립간으로 변경하였다.
① 율령을 반포하고 불교를 공인하였다.
→ X(신라 시대에 율령을 반포하고 불교를 공인한 것은 법흥왕 때의 일이다)
② 국호를 신라로 바꾸고 주군제를 도입하였다.
→ X(국호를 사로국에서 신라로 바꾸고, 지방 제도로 주군제를 도입한 왕은 지증왕이다)
③ 백제와 연합하여 고구려에게 빼앗긴 한강 유역을 되찾았다.
→ X(백제와 연합하여 고구려에 빼앗긴 한강 유역을 되찾은 왕은 진흥왕이다)
④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여 자주국가로서의 위상을 높였다.
→ X(신라 시대에 개국, 대창, 홍제 등의 연호를 사용한 왕은 진흥왕이다)
⑤ 3성이 권력을 주고받던 시대가 끝나고 김씨 세습이 이루어졌다.
→ O(내물 마립간 때 3성이 권력을 주고받던 시대가 끝나고 김씨가 독점적으로 왕위 계승권을 확립하였다)
정답 ⑤
4. 다음과 같은 활동을 전개한 승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법화삼매를 통해 제시된 활동을 전개한 승려가 요세임을 알 수 있다. 요세는 자신의 행동에 대한 진정한 참회를 강조하는 천태교학의 법화 신앙을 중시하였다.
① 천태종을 창시하였다.
→ X(천태종을 창시한 인물은 의천이다)
② 돈오점수를 주장하였다.
→ X(내가 곧 부처라는 깨달음을 얻고 이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돈오점수를 주장한 인물은 지눌이다)
③ 백련결사를 주도하였다.
→ O(요세는 강진 만덕사에서 법화 신앙을 바탕으로 백련 결사를 제창하였다)
④ 천태사교의를 저술하였다.
→ X(천태학의 요지를 밝힌 천태사교의를 저술한 인물은 제관이다)
⑤ 유불일치설을 강조하였다.
→ X(유불일치설을 강조하여 성리학 수용의 토대를 마련한 인물은 혜심이다)
정답 ③
5. 다음 지문의 작가가 속한 붕당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것은?
관동별곡은 정철의 작품으로, 정철의 서인이었다.
① 이황과 조식의 문인으로 이루어져 있다.
→ X(이황과 조식의 문인으로 이루어진 붕당은 동인이다)
② 이조전랑 자리를 두고 다툰 김효원을 추종하는 세력이다.
→ X(이조전랑 자리를 두고 심의겸과 다툰 김효원을 추정하는 세력은 동인이다)
③ 광해군을 세자로 책봉하자고 건의한 사건으로 피해를 입었다.
→ O(선조 때 서인의 영수였던 정철이 광해군을 세자로 책봉할 것을 건의하자 동인들이 공격하여 피해를 입었다)
④ 정여립 모반사건에 연루되어 많은 사람들이 실각하였다.
→ X(동여립 모반 사건에 연루된 동인이 피해를 입었다)
⑤ 선조가 사망하고 광해군이 즉위하자 실권을 장악하였다.
→ X(광해군이 즉위하자 실권을 장악한 붕당은 북인이다)
정답 ③
'국회직 한국사 > 2020'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 국회직 9급 한국사 해설_16~20번 (0) | 2023.03.04 |
---|---|
2020년 국회직 9급 한국사 해설_11~15번 (0) | 2023.03.04 |
2020년 국회직 9급 한국사 해설_6~10번 (0) | 2023.03.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