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가), (나)의 토지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경종, 인품만 가지고 등급을 정하였다는 것을 통해 시정 전시과에 대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경종은 전현직 관리를 대상으로 관직, 인품을 고려해 시정 전시과를 실시하였다.
(나) 과전을 통해 과전법에 대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공양왕 때 신진 사대부의 경제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경기 지방 토지를 대상으로 과전법을 실시하였다.
① (가) - 무인에 대한 차별대우가 사라졌다.
→ X(무인에 대한 차별 대우가 사라진 것은 경정 전시과 때의 일이다)
② (가) - 전지와 시지를 함께 지급하였다.
→ O(전시과는 전지와 시지의 수조권을 지급하는 제도였다)
③ (나) - 수신전, 휼양전 등이 마련되었다.
→ O(과전법에서는 관리가 사망하면 자식과 부인에게 수신전, 휼양전의 토지를 지급하였다)
④ (나) - 수조권을 지급하는 것이 원칙이었다.
→ O(과전법에서는 세금을 거둘 수 있는 수조권을 지급하는 것이 원칙이었다)
⑤ (가), (나) - 전직 관리에게도 토지를 지급하였다.
→ O(시정 전시과, 과전법 모두 전직 관리에게 토지를 지급하였다)
정답 ①
12. 임진왜란 당시의 사건들을 오래된 시기 순으로 옳게 나열한 것은?
ㄱ. 이순신이 이끄는 수군이 옥포에서 첫 승리를 거두었다.
→ 1592년 5월(옥포 해전은 임진왜란 당시 최초의 해전이었다. 여기에서 이순신이 이끄는 수군이 일본군에 승리를 거두었다)
ㄹ. 평양성을 일본군에게서 탈환하였다.
→ 1593년 1월(조명 연합군은 평양성을 일본군에게서 탈환하고 왜군을 추격하였다)
ㄷ. 권율이 행주산성에서 대승을 거두었다.
→ 1593년 2월(권율은 행주산성에서 관군, 백성들과 합심하여 왜군을 물리쳤다)
ㄴ. 진주성이 함락되고 수많은 사람들이 살상되었다.
→ 1593년 6월(제2차 진주 대첩 때 진주성이 함락되고 조선군, 왜군 할 것 없이 많은 사람들이 살상되었다)
정답 ③
13. (가)의 인물이 주장했을 구호로 옳지 않은 것은?
조선 건국 동맹,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 좌우 합작 운동을 통해 (가) 인물이 여운형임을 알 수 있다. 1944년 여운형은 국내 좌우익 세력과 함께 조선 건국 동맹을 조직하였는데, 이는 광복 이후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로 개편되었다. 한편 분단의 가능성이 높아지자 여운형은 좌우 합작 운동을 전개하였다.
① 한반도 분단을 막고 통일정부를 수립하자!
→ O(좌우 세력의 대립이 격화되는 가운데 남북 분단을 우려한 여운형, 김규식 등은 좌우 합작 위원회를 조직하여 통일 정부를 수립하고자 하였다)
② 나라 빚을 갚아 일본의 간섭에서 벗어나자!
→ O(여운형은 경기도 양평에서 나라 빚을 갚아 일본의 간섭에서 벗어나자는 국채 보상 운동을 전개하기도 하였다)
③ 조선 사람은 조선 사람이 만든 물건을 쓰자!
→ X(조선 사람은 조선 사람이 만든 물건을 쓰자고 주장한 물산 장려 운동은 조만식 등이 주도하였다)
④ 일제의 패망에 대비하여 건국을 준비하자!
→ O(여운형은 조선 건국 동맹을 조직해 일제의 패망에 대비하여 건국을 준비하고자 하였다)
⑤ 파리 강화 회의에 대표를 보내 일제의 침략상을 알리자!
→ O(여운형이 조직하였던 신한 청년당은 파리 강화 회의에 대표를 보내 일제의 침략상을 알리고자 하였다)
정답 ③
14. 조선 후기 상품 화폐 경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것은?
① 숙종 이후 전국적으로 유통된 동전은 교환 수단으로 뿐만 아니라 재산 축적의 수단으로 여겨져 동전의 부족 현상인 전황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 O(숙종 이후 상평통보가 전국적으로 유통되었는데, 일부 지주, 대상인들이 화폐를 고리대, 재산 축적에 이용하여 시중에 동전이 부족해지는 전황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② 지방민의 교역 장소로 장시가 정기적으로 열렸으며, 보부상들이 장시들을 하나의 유통망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 O(조선 후기에 일부 장시는 상설 시장이 되기도 하였고, 보부상은 지방 장시를 연결하여 하나의 유통망을 형성하였다)
③ 17세기 중엽 이후 국경 지대를 중심으로 공적으로 허용된 개시가 열렸는데, 중강 개시, 회령 개시, 경원 개시, 동래 개시가 있었다.
→ O(조선 후기에는 중국, 일본 등을 상대로 국가가 인정한 대외 교역 시장인 개시가 열렸다)
④ 정조 때 신해통공을 통해 모든 시전이 가진 금난전권의 특권을 없애고 모든 상품의 자유로운 판매를 허용하였다.
→ X(정조 때 반포한 신해통공은 육의전을 제외한 시전 상인들의 금난전권을 철폐한 것이었다)
⑤ 상업 자본가로 성장한 도매상인인 도고들은 자본을 바탕으로 상품을 독점하여 부를 축적하였다.
→ O(조선 후기에 도고들은 한 가지 물품을 대량으로 취급하며 부를 축적하였다)
정답 ④
15. (가)와 (나) 시기 사이의 역사적 사실로 옳은 것은?
(가) 청의 연호 사용하지 않음, 개국 기년 사용을 통해 제1차 갑오개혁에 대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제1차 갑오개혁 대 청의 연호를 버리고 개국 연호를 사용하였다.
(나) 양력, 건양을 통해 을미개혁에 대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을미개혁 때부터 태양력을 사용하였고, 갑오개혁 때 사용하던 개국 연호를 폐지하고 건양 연호를 사용하였다.
① 아관파천이 일어났다.
→ X(을미사변 이후 신변에 위협을 느낀 고종은 러시아 공사관으로 피신하였는데, 이를 아관파천이라고 한다. 아관파천은 (나) 이후에 일어났다
② 홍범 14조가 발표되었다.
→ O(제2차 갑오개혁 때 고종은 홍범 14조를 선포하여 적극적인 개혁을 추진하고자 하였다)
③ 청일 전쟁이 시작되었다.
→ X(청일 전쟁에서 주도권을 잡은 일본은 내정 개혁을 강요하였고, 이에 따라 제1차 갑오개혁이 추진되었다)
④ 영국이 거문도를 점령하였다.
→ X(갑신정변 이후 러시아의 남하 정책에 위기를 느낀 영국이 거문도를 불법 점령하였는데, 이는 (가) 이전에 일어났다)
⑤ 동학농민군이 제2차 봉기를 일으켰다.
→ X(동학 농민군의 제2차 봉기는 관군과 일본군에 의해 진압되었다. 이후 일본은 조선에 대한 침략의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 군국기무처를 설치하고 내정 개혁을 강요하였다. 이에 따라 제1차 갑오개혁이 추진되었다)
정답 ②
'국회직 한국사 > 2020'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 국회직 9급 한국사 해설_16~20번 (0) | 2023.03.04 |
---|---|
2020년 국회직 9급 한국사 해설_6~10번 (0) | 2023.03.04 |
2020년 국회직 9급 한국사 해설_1~5번 (0) | 2023.03.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