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방직 한국사/2019

2019년 지방직 9급 공무원 한국사('A'책형)_6~10번 풀이

by 데일리히스토리 2023. 1. 24.
반응형

6. 다음과 같은 글을 남긴 국왕의 업적에 해당하는 것은?

중국과 꼭 같을 필요는 없다, 거란은 본받지 말라는 내용을 통해 태조 왕건의 훈요 10조임을 알 수 있습니다. 고려를 세운 태조 왕건은 후대 왕들이 지켜야 할 정책 방안을 훈요 10조로 정리하였는데, 여기에서 중국의 제도는 선별적으로 받아들이고, 거란은 배척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① 물가조절을 위해 상평창을 설치하였다.

→ 성종(물가 조절을 위해 개경, 서경, 12목에 물가 조절 기구인 상평창을 설치한 것은 성종 때의 일입니다)

② 기인·사심관제와 함께 과거제를 실시하였다.

→ 태조 왕건과 광종(호족 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기인·사심관제는 태조 왕건이 실시한 것이 맞지만 과거제는 광종 때 실시되었습니다)

③ 혼인정책과 사성정책을 통해 호족을 포섭하였다.

→ 태조 왕건(태조 왕건은 유력한 호족과 혼인 관계(혼인 정책)를 맺어 유대를 강화하고자 하였고, 공신들에게 왕씨 성을 하사(사성 정책)하여 친족으로 포섭하였습니다)

④ 광군 30만을 조직하여 거란의 침략에 대비하였다.

→ 정종(거란의 침입에 대비하기 위해 광군을 편성하고 지휘부로 광군사를 설치한 것은 정종 때의 일입니다)

정답은 ③입니다. 


7. 다음 ㉠~㉣에 들어갈 인물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 ( ㉠ )는/은 『신편제종교장총록』을 편찬하였다.

→ 의천(『신편제종교장총록』은 의천이 대장경을 보완하기 위해 편찬한 것으로, 이를 바탕으로 속장경을 간행하였습니다)

○ ( ㉡ )는/은 원의 불교인 임제종을 들여와서 전파시켰다.

→ 보우(원으로부터 임제종을 들여와 전파시킨 인물은 보우입니다. 이후 임제종은 조선 선종의 주류로 발전하였습니다)

○ ( ㉢ )는/은 강진에 백련사를 결사하여 법화신앙을 내세웠다.

→ 요세(강진에 백련사를 결사하여 자신의 행동에 대한 참회를 강조하는 법화 신앙을 바탕으로 백련 결사를 제청한 인물은 요세입니다)

○ ( ㉣ )는/은 『목우자수심결』을 지어 마음을 닦고자 하였다.

→ 지눌(『목우자수심결』은 지눌이 돈오점수설을 밝힌 저술입니다. 돈오점수는 내가 곧 부처라는 것을 깨닫고 이를 위해 꾸준히 노력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는 사상입니다)

㉠ 의천, ㉡ 보우, ㉢ 요세, ㉣ 지눌로, 정답은 ③입니다.


8. 다음 정책을 추진한 국왕 대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관비가 아이를 낳으면 100일의 휴가를 주었던 것은 조선 세종이 추진했던 정책입니다. 세종은 노비의 출산 휴가를 보장하였습니다. 

① 사형의 판결에는 삼복법을 적용하였다.

→ 세종(사형수에 대해 3번 심사하여 판결하도록 하는 삼복제는 세종 때 실시되었습니다)

② 주자소를 설치하여 계미자를 주조하였다.

→ 태종(활자의 주조와 인쇄를 담당하는 주자소를 설치하여 계미자를 제작한 것은 태종 때의 일입니다)

③ 국방력 강화를 위해 진관체제를 실시하였다.

→ 세조(국방력 강화를 위해 지역 단위의 방어 체제인 진관 체제는 세조 때 실시되었습니다)

④ 도평의사사를 개편하여 의정부를 설치하였다.

→ 정종(도평의사사를 개편하여 의정부를 설치한 것은 정종 때의 일입니다)

정답은 ①입니다. 

 


9. 밑줄 친 ‘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황룡사 9층탑을 세울 것을 건의했다는 것을 통해 밑줄 친 그가 자장임을 알 수 있습니다. 황룡사 9층 목탑은 선덕 여왕 때 자장의 건의에 따라 건립되었습니다.

① 화랑이 지켜야 할 세속오계를 지었다.

→ 원광(진평왕은 원광에게 화랑이 지켜야 할 세속 오계를 만들도록 하였습니다)

② 대국통으로 있으면서 계율을 지키는 일에 힘을 보탰다.

→ 자장(선덕 여왕은 자장을 대국통으로 삼았는데, 자장은 계율종을 개창하였습니다)

③ 통일 이후의 사회갈등을 통합으로 이끄는 화엄사상을 강조하였다.

→ 의상(의상은 모든 존재가 상호 의존적이며 서로 조화를 이루고 있다는 화엄 사상을 강조하여 통일 이후의 사회 통합을 강조하고자 하였습니다)

④ 일심(一心) 사상을 주장하여 불교 교리의 대립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 원효(모든 것이 한마음에서 나온다는 일심 사상을 바탕으로 불교 교리의 대립을 극복하고자 한 인물은 원효입니다)

정답은 ②입니다.


10. 다음 자료에 나타난 상황과 관련 있는 사건은?

경성(한양)의 종묘, 사직, 궁궐 등이 피해 입었다는 것, 성혼을 통해 다음 자료에 나타난 상황이 임진왜란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성혼은 중종~선조 때의 인물입니다.

① 병자호란

→ 청이 군신 관계를 요구하며 조선을 침략하는 병자호란을 일으켰습니다. 청군의 빠른 진군 속도에 인조는 한양을 떠나 남한산성으로 피난을 갔습니다. 성혼은 선조 때 사망하였기 때문에 인조 때 일어난 병자호란에 대한 기록을 남길 수 없었습니다.

② 임진왜란

→ 임진왜란을 일으킨 왜군은 부산진, 동래성을 점령하고 20여일 만에 한양까지 점령하여 많은 피해를 입혔습니다. 

③ 삼포왜란

→ 중종 때 부산포, 제포(진해), 염포(울산)의 3포에서 왜인들이 난을 일으켰습니다. 이때 한양이 피해를 입지는 않았습니다.

④ 이괄의 난

→ 인조반정에서의 논공행상에 불만을 품은 이괄이 난을 일으켰습니다. 이괄의 난은 인조 때 일어났으므로 성혼이 이에 대한 기록을 남길 수는 없었습니다.

정답은 ②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