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방직 한국사/2019

2019년 지방직 9급 공무원 한국사('A'책형)_11~15번 풀이

by 데일리히스토리 2023. 1. 24.
반응형

11. 밑줄 친 ‘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남은, 요동 공격, 『진도』를 통해 밑줄 친 그가 정도전임을 알 수 있습니다. 정도전과 남은은 조선을 세운 개국 공신이었습니다. 정도전은 요동 정벌을 주장한 인물로, 이때 조선과 명은 불편한 관계를 유지하였는데 정도전이 제거되고 태종이 즉위한 이후에는 친선 관계를 유지하였습니다. 한편 정도전은 요동 정벌을 추진하기 위해 일종의 병법서인 『진도』를 편찬하기도 하였습니다. 

① 만권당에서 원의 학자들과 교류하였다.

→ 이제현(충선왕이 원에 세운 만권당에서 원의 학자들과 교류한 인물은 이제현입니다)

② 맹자의 역성혁명론을 조선건국에 적용하였다.

→ 정도전(정도전 등 혁명파 사대부는 맹자의 역성 혁명론을 조선 건국에 적용하였습니다)

③ 한양 도성의 성문과 궁궐 등의 이름을 지었다.

→ 정도전(조선 건국의 설계자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는 정도전은 유교 사상에 입각하여 한양 도성의 성문과 궁궐 등의 이름을 지었습니다)

④ 『경제문감』을 저술하여 재상 중심의 정치를 주장하였다.

→ 정도전(정도전은 『주례』를 참고하여 『조선경국전』, 『경제문감』 등을 저술하여 통치 규범을 마련하였습니다)

정답은 ①입니다. 


12. 조약 (가), (나) 사이 시기의 경제 상황으로 옳은 것은?

(가) 일본에 쌀 수출, 일본국 선박 무항세를 통해 강화도 조약의 부속 조약인 ​조·일 무역 규칙(조·일 통상 장정, 1876. 7.)임을 알 수 있습니다. 조·일 무역 규칙으로 양곡의 무제한 유출이 허용되었고, 일본 수출입 상품에 대한 무관세가 규정되었습니다.

(나) 관세 납부, 쌀 수출 금지할 때에는 1개월 전 통고를 통해 ​조·일 통상 장정 개정(1882)임을 알 수 있습니다. 조·일 통상 장정이 개정됨에 따라 조선은 관세 부과와 미곡 유출 제한이 가능해졌지만 미곡 수출을 제한할 때에는 1개월 전에 통고하라는 단서가 추가되었습니다. 

① 메가타 재정고문이 화폐정리사업을 시도하였다.

→ 1905년(일본인 재정 고문 메가타는 1905년 일본 제일은행권을 조선의 본위 화폐로 지정하고 기존의 백동화 등을 일본 제일은행권과 교환하도록 강요하는 화폐 정리 사업을 시도하였습니다)

② 혜상공국의 폐지 등을 주장한 정변이 발생하였다.

→ 1884년(혜상공국 폐지, 청에 대한 사대 관계 청산, 양반 문벌 폐지 등을 주장하며 급진 개화파가 1884년에 갑신정변을 일으켰습니다)

③ 양화진에 청국인 상점을 허용하는 조약이 체결되었다.

→ 1882년(양화진에서 청국인 상점을 허용하는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은 임오군란(1882)의 결과로 체결되었습니다)

④ 함경도 방곡령 사건으로 일본과 외교적 마찰이 일어났다.

→ 1889년(함경도 관찰사가 미곡 유출을 금지하는 방곡령을 1889년에 선포하였는데 일본이 조·일 통상 장정에 따라 1개월 전에 통고하지 않았다며 오히려 배상금을 요구하였습니다)

정답은 ③입니다. 

 


13. 대한제국 시기에 추진된 정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시위대와 진위대를 증강하였다.

→ 대한 제국은 군사력 증강을 위해 서울의 시위대와 지방의 진위대 군사 수를 대폭 증강하였ㅅ브니다.

② 독립신문의 창간을 지원하였다.

→ 대한 제국은 1897년 선포되었고, 독립신문은 그 이전인 1896년에 창간되었습니다. 그러므로 대한 제국이 독립신문의 창간을 지원할 수는 없었습니다. 

③ 화폐제도의 개혁과 중앙은행의 창립을 추진하였다.

→ 대한 제국은 금 본위제를 시도하는 등 화폐 제도의 개혁과 중앙은행의 창립을 추진하였습니다. 

④ 황실 재정을 담당하는 내장원의 기능을 확대하였다.

→ 대한 제국은 화폐 주조, 홍삼 전매 등의 수입을 황실 재정을 담당하는 내장원으로 이관하여 그 기능을 확대하였습니다.

정답은 ②입니다. 


14. 조선후기 서학과 관련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이승훈이 북경에서 영세를 받았다.

→ 18세기에 이승훈이 최초로 베이징에서 서양인 신부에게 영세를 받고 돌아왔습니다. 

② 윤지충 사건을 계기로 하여 기해박해가 일어났다.

→ 윤지충이 모친상에서 신주를 불사르고 천주교식으로 장례를 치른 윤지충 사건(진산 사건)을 계기로 정조 때 신해박해가 일어났습니다. 기해박해는 헌종 때 풍양 조씨가 집권하면서 천주교를 탄압한 사건이었습니다. 

③ 안정복이 천주교를 비판하는 『천학문답』을 저술하였다.

→ 안정복은 정약용 등 남인 소장학자들이 유교를 공부하였음에도 서학에 빠진 것을 안타까워하며 천주교가 사학임을 주장하는 『천학문답』을 저술하였습니다.

④ 최초의 한국인 신부 김대건이 귀국하여 포교 중 순교하였다.

→ 우리나라 최초의 한국인 신부였던 김대건은 귀국하여 포교하던 중 병오박해 때 순교하였습니다. 

정답은 ②입니다.


15. 다음과 같은 강령을 발표한 조직의 활동으로 옳은 것은?

생산기관, 은행, 기업 등을 국유로 한다는 것을 통해 제시된 강령이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건국 강령(1941)임을 알 수 있습니다. 건국 강령은 조소앙의 삼균주의를 바탕으로 발표된 것인데 보통 선거, 의무 교육, 토지 국유화, 생산 기관의 국유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였습니다. 

① 이승만을 대통령, 이시영을 부통령으로 선출하였다.

→ 제헌 국회(제헌 국회에서 이승만을 대통령, 이시영을 부통령으로 선출하고,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을 선포하였습니다)

② 자유시 참변을 겪고 러시아 적군에 무장해제를 당하였다.

→ 대한 독립 군단(약소국을 지원하겠다는 소련 적색군의 선전에 대한 독립 군단 등 한인 무장 부대들이 자유시로 이동하였으나 지휘권을 둘러싸고 자유시 참변이 일어나 많은 사상자가 발생하였습니다)

③ 좌우합작위원회를 구성하고 좌우합작 7원칙을 발표하였다.

→ 좌우 합작 운동(남북 분단을 우려한 중도 세력은 분열을 방지하기 위해 좌우 합작 위원회를 조직하고 신탁 통치 문제, 토지 문제 등에 대해 합의한 좌우 합작 7원칙을 발표하였습니다)

④ 미군전략정보국(OSS) 지원 아래 국내 진공작전을 준비하였다.

→ 대한민국 임시 정부(대한민국 임시 정부 산하의 한국광복군은 미군 전략 정보국(OSS)의 지원 아래에 국내 진공 작전을 준비하였습니다)

정답은 ④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