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가), (나) 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여자가 어릴 때 혼인을 약속하고, 신랑 집에서 길러 아내로 삼는다는 것을 통해 옥저의 혼인 풍습인 민며느리제를 설명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나) 영고를 통해 부여에 대해 설명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영고는 수렵 사회의 전통을 잇는 부여의 제천 행사였습니다.
① (가)-무천이라는 제천행사가 있었다.
→ 동예(무천은 동예의 제천 행사였습니다)
② (가)-계루부집단이 권력을 장악하였다.
→ 고구려(5부족 연맹체였던 고구려에서는 태조왕 때부터 계루부 고씨가 왕위를 세습하였습니다)
③ (나)-사출도라는 구역이 있었다.
→ 부여(부여의 지배층인 가는 저마다 사출도라는 행정 구획을 통치하였습니다)
④ (나)-철이 많이 생산되어 낙랑과 왜에 수출하였다.
→ 삼한(삼한 중 특히 변한에서는 철이 많이 생산되어 이를 낙랑이나 왜에 수출하기도 하였습니다)
정답은 ③입니다.
2. (나) 시기에 발생한 사건으로 옳은 것은?

(가) 백제왕이 평양성 공격, (고구려)왕의 서거를 통해 고국원왕의 전사(371)에 대한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황해도 지역을 놓고 백제 근초고왕과 대결하던 고국원왕은 평양성에서 전사하였습니다.
(다) 왕이 신라 구원, 왜적 퇴각을 통해 광개토 대왕(400)에 대한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백제·가야·왜 연합군을 신라를 공격하자 신라 내물 마립간은 고구려에 도움을 요청하였습니다. 이에 광개토 대왕은 신라를 지원해 왜를 격퇴하고 금관가야를 공격하였습니다.
즉, 문제는 고국원왕과 장수왕 사이에 대해 묻고 있습니다.
① 태학을 설립하고 율령을 반포하였다.
→ (나) 시기(우리나라 최초의 국립 대학인 태학 설립(372)과 국가 통치의 기본법인 율령 반포(373는 소수림왕 때의 일입니다)
② 평양으로 도읍을 옮기고 한성을 함락하였다.
→ (다) 이후(귀족 세력 약화와 왕권 강화를 위해 평양으로 천도(427)하고, 백제 수도인 한성을 함락(475)한 것은 장수왕 때의 일입니다)
③ 관구검이 이끄는 위나라 군대의 침략을 받았다.
→ (가) 이전(위 장수 관구검의 침입을 받아 당시 수도였던 환도성이 크게 파괴된 것은 3세기 동천왕 때의 일입니다)
④ 왕이 직접 말갈 병사를 거느리고 요서지방을 공격하였다.
→ (다) 이후(수가 세력 확대를 꾀하자 위협을 느낀 영양왕이 598년에 말갈 병사를 이끌고 전략적 요충지였던 요서 지방을 선제공격하였습니다)
정답은 ①입니다.
3. 통일신라의 경제상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왕경에 서시전과 남시전이 설치되었다.
→ 통일 신라(통일 신라 시대에 농업 생산력의 향상으로 경주의 인구가 증가하고 상품 생산이 늘어 지증왕 때 설치한 동시만으로는 상품 수요를 감당할 수 없게 되자 서시와 남시를 추가로 설치하였고, 이를 감독하기 위한 서시전과 남시전도 설치되었습니다.
② 어아주, 조하주 등 고급비단을 생산하여 당나라에 보냈다.
→ 통일 신라(통일 신라는 당에 어아주, 조하주 등의 고급 비단을 수출하였고, 당으로부터는 책, 귀족의 사치품 등을 수입하였습니다)
③ 촌락의 토지 결수, 인구 수, 소와 말의 수 등을 파악하였다.
→ 통일 신라(통일 신라에서는 촌락의 토지 결수, 인구 수, 소와 말의 수 등을 파악한 신라 촌락 문서를 작성하여 이를 바탕으로 조세, 공물, 부역을 징발하고자 하였습니다)
④ 시비법과 이앙법 등의 발달로 농민층에서 광작이 성행하였다.
→ 조선 후기(시비법과 이앙법 등의 발달로 한 농가의 경작 가능한 농지가 증가하면서 농민층에서 광작이 성행한 것은 조선 후기의 일입니다)
정답은 ④입니다.
4. 다음 서적을 편찬된 시기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ㄱ. 『의방유취』
→ 1445년(『의방유취』는 조선 세종 때 편찬한 의학 백과사전으로 동양 의학을 집대성하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ㄴ. 『동의보감』
→ 1610년(『동의보감』은 조선 광해군 때 허준이 저술한 의서로, 조선 의학을 집대성한 동양 최고의 의서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ㄷ. 『향약구급방』
→ 1236년(『향약구급방』은 고려 고종 대 편찬한 의서로, 우리나라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의서입니다)
ㄹ. 『향약집성방』
→ 1433년(『향약집성방』은 조선 세종 때 편찬한 의서로, 700여 종의 국산 약재와 1,000여 종의 병에 대한 치료 예방법이 소개되어 있습니다)
시기순으로 나열하면 ㄷ → ㄹ → ㄱ →ㄴ으로, 정답은 ④입니다.
5. 삼국시대 문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선덕여왕 때에 첨성대를 세웠다.
→ 천성대는 선덕 여왕 때 세운 것으로, 동양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천문 관측 시설입니다.
② 목탑 양식의 미륵사지석탑이 건립되었다.
→ 백제의 미륵사지 석탑은 목탑의 모습을 많이 지니고 있는 석탑입니다.
③ 가야 출신의 우륵에 의해 가야금이 신라에 전파되었다.
→ 가야 출신 우륵은 가야금을 만들고 12악곡을 지었는데, 이것이 신라에 전파되었습니다.
④ 사신도가 그려진 강서대묘는 돌무지무덤으로 축조되었다.
→ 도교의 방위신인 사신도가 그려진 강서대묘는 굴식 돌방무덤입니다. 고구려의 대표적인 돌무지무덤으로는 장군총이 있으며, 돌무지무덤에는 벽화가 없습니다.
정답은 ④입니다.
'지방직 한국사 > 2019'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년 지방직 9급 공무원 한국사('A'책형)_16~20번 풀이 (0) | 2023.01.24 |
---|---|
2019년 지방직 9급 공무원 한국사('A'책형)_11~15번 풀이 (0) | 2023.01.24 |
2019년 지방직 9급 공무원 한국사('A'책형)_6~10번 풀이 (0) | 2023.01.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