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97

2022년 소방직 한국사 해설_16~20번 16. (가)에 들어갈 인물로 옳은 것은? 삼균주의를 통해 (가)에 들어갈 인물이 조소앙임을 알 수 있다. ① 김규식 → X(김규식은 파리 강화 회의에 독립 청원서를 제출하러 파견되었다) ② 여운형 → X(여운형은 광복 직전 조선 건국 동맹을 조직하고, 이후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로 개편하였다) ③ 안재홍 → X(중도 우파 안재홍 등은 중도 좌파 여운형 등과 연합하여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를 조직하였다) ④ 조소앙 → O(삼균주의는 인간 평등, 민족 평등, 국가 평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조소앙의 삼균주의를 바탕으로 건국 강령을 발표하였다) 정답 ④ 17. 다음 자료에 나타난 민족 운동이 전개된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대학의 설립을 통해 제시된 자료에 나타난 민족 운동이 1.. 2023. 1. 8.
2022년 소방직 한국사 해설_11~15번 11. (가)와 (나) 사이의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가) 허적, 복선군을 통해 경신환국에 대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남인인 허적이 군사용 천막을 허락 없이 사용하여 숙종의 심기가 좋지 않은 상황에서 서인들이 허적의 서자 허견 등의 역모 사건(허견이 복창군, 복선군, 복평군과 역모를 꾀하였다는 사건)을 고발하였다. 이에 많은 남인들의 축출되었다. (나) 송시열, 원자의 명호를 통해 기사환국에 대한 것임을 알 수 있다. 희빈 장씨의 아들을 원자로 삼으려고 하자 서인인 송시열 등이 반대하였다. 이에 숙종은 기사환국을 일으켜 서인 세력을 몰아내고 인현 왕후를 폐출시켰다. ① 서인이 정국을 주도하였다. → O(경신환국으로 남인이 축출되자 서인이 정국을 주도하였다) ② 정여립 모반 사건이 발생하였다... 2023. 1. 8.
2022년 소방직 한국사 해설_6~10번 6. 밑줄 친 ‘왕’의 행적으로 옳은 것은? 고려의 왕공이 우리 왕을 위로하였다는 것을 통해 고려의 왕공은 태조 왕건이고 밑줄 친 ‘왕’이 신라 경순왕임을 알 수 있다. 경순왕은 신라의 마지막 왕이다. ① 발해를 건국하였다. → 대조영(발해를 건국한 인물은 대조영이다) ② 고려에 귀순하였다. → 경순왕(경순왕은 고려에 항복하고 귀순하였다) ③ 철원에 수도를 정하였다. → 궁예(철원에 수도를 정한 인물은 후고구려를 세운 궁예이다) ④ ‘천수’라는 연호를 사용하였다. → 태조 왕건(‘천수’ 연호를 사용한 인물은 고려의 태조 왕건이다) 정답 ② 7. 다음 자료를 활용한 탐구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이자겸, 최충 등은 고려의 문벌 귀족이다. ① 과거의 폐단 → X(과거제는 고려 광종 때 우리나라에서 처음 실.. 2023. 1. 8.
2022년 소방직 한국사 해설_1~5번 1. (가) 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소노부, 계루부 등 5부를 통해 (가) 국가가 고구려임을 알 수 있다. 고구려는 계루부 등 5부족 연맹으로 이루어졌다. ① 신성 지역인 소도가 존재하였다. → 삼한(신성 지역인 소도가 존재한 국가는 삼한이다) ② 서옥제라는 혼인 풍습이 있었다. → 고구려(고구려에서는 신랑이 처가에 살면서 자식을 낳고 일을 하다가 자식이 성장하며 신랑 집으로 돌아가는 서옥제라는 혼인 풍습이 있었다) ③ 가(加)들이 사출도를 나누어 다스렸다. → 부여(가들이 사출도로 불리는 행정 구역을 통치한 국가는 부여이다) ④ 8조법을 만들어 사회 질서를 유지하였다. → 고조선(8조법을 만들어 사회 질서를 유지한 국가는 고조선이다) 정답 ② 2. (가)와 (나) 사건 사이에 있었던 사실로 .. 2023. 1.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