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97 2022년 고졸 검정고시 1차 한국사_21~25번 21. 다음에서 ㉠에 해당하는 사건으로 적절한 것은? ① 녹읍 폐지 → X(녹읍은 관료 귀족들에게 지급된 토지로, 신문왕 때 폐지되었다) ② 후삼국 통일 → X(고려의 태조 왕건이 후삼국을 통일하였다) ③ 자유시 참변 → X(만주 지역에 독립군이 탄압을 피해 자유시로 이동하였는데, 러시아 내전과 독립군 내부의 갈등으로 많은 독립군이 피해를 입은 자유시 참변이 발생하였다) ④ 인천 상륙 작전 → O(6·25 전쟁 초반에는 국군이 열세였으나 인천 상륙 작전의 성공으로 전세를 반전하였다) 정답 ④ 22. 다음에서 설명하는 사건은? 3·15 부정 선거, 이승만 하야를 통해 제시문의 사건이 4·19 혁명임을 알 수 있다. ① 4·19 혁명 → O(3·15 부정 선거, 이승만 정부의 부정부패에 반발하여 4·19 혁.. 2023. 3. 14. 2022년 고졸 검정고시 1차 한국사_16~20번 16. 다음 대화에 해당하는 무장 투쟁은? 김좌진의 북로 군정서군을 통해 제시된 대화에 해당하는 무장 투쟁이 청산리 대첩임을 알 수 있다. ① 명량 대첩 → X(정유재란 때 이순신의 수군이 명량에서 조선 수군의 10배 이상이었던 일본군을 크게 물리쳤다) ② 청산리 대첩 → O(김좌진이 이끄는 북로 군정서군 등 독립군 연합 부대가 청산리 전투에서 일본군에 대승을 거두었다) ③ 홍경래의 난 → X(세도 정치기 홍경래는 평안도 지역에 대한 차별, 탐관오리 수탈 등에 반발하여 난을 일으켰다) ④ 6·10 만세 운동 → X(순종의 서거를 계기로 일어난 6·10 만세 운동은 학생들이 주도한 민족 운동이었다) 정답 ② 17. 다음에서 ㉠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전시 동원 체제, 여성 강제 동원을 통해 ㉠에.. 2023. 3. 14. 2022년 고졸 검정고시 1차 한국사_11~15번 11. 다음에서 설명하는 지역은? 안용복, 칙령 제41호를 통해 제시문이 설명하는 지역이 독도임을 알 수 있다. ① 진도 → X(진도는 고려 시대에 삼별초가 몽골에 대한 항전을 전개한 곳이다) ② 독도 → O(조선 시대 안용복은 일본으로 건너가 울릉도와 독도가 우리 영토임을 인정받고 돌아왔다. 한편 대한 제국은 칙령 제41호를 통해 울릉도를 군으로 승격하고, 울릉도가 독도를 관할하는 지역임을 명시하였다) ③ 벽란도 → X(벽란도는 고려 시대 대표적인 국제 무역항이었다) ④ 청해진 → X(청해진은 통일 신라 시대에 장보고가 설치한 해상 무역 기지였다) 정답 ② 12. 다음에서 설명하는 시설은? 근대식 병원, 알렌을 통헤 제시문이 설명하는 시설이 광혜원임을 알 수 있다. ① 서원 → X(서원은 조선 시대에 .. 2023. 3. 14. 2022년 고졸 검정고시 1차 한국사_6~10번 6. 다음에서 ㉠에 해당하는 조선의 제도는? 토지 결수에 따라 쌀로 공납을 거둔다는 것을 통해 ㉠이 대동법임을 알 수 있다. ① 골품제 → X(골품제는 신라 시대의 신분 제도이다) ② 대동법 → O(과중한 공물의 부담과 방납의 폐단을 견디지 못해 몰락하는 농민이 늘자 공물 대신 토지 결수에 따라 쌀, 동전 등으로 납부하게 하는 대동법을 실시하였다) ③ 단발령 → X(단발령은 을미개혁 때 반포한 것으로, 당시 단발령 실시에 대한 반발이 심하였다) ④ 진대법 → X(진대법은 고구려 고국천왕 때 실시한 빈민 구휼 제도로, 가난한 백성에게 곡식을 빌려주고 추후 갚도록 한 것이다) 정답 ② 7. 다음에서 ㉠에 해당하는 것은? 흥선 대원군, 서양과의 통상 거부 의지를 통해 ㉠이 척화비임을 알 수 있다. ① 규장각 .. 2023. 3. 14. 이전 1 2 3 4 5 ··· 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