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다음에서 ㉠에 해당하는 조선의 제도는?
토지 결수에 따라 쌀로 공납을 거둔다는 것을 통해 ㉠이 대동법임을 알 수 있다.
① 골품제
→ X(골품제는 신라 시대의 신분 제도이다)
② 대동법
→ O(과중한 공물의 부담과 방납의 폐단을 견디지 못해 몰락하는 농민이 늘자 공물 대신 토지 결수에 따라 쌀, 동전 등으로 납부하게 하는 대동법을 실시하였다)
③ 단발령
→ X(단발령은 을미개혁 때 반포한 것으로, 당시 단발령 실시에 대한 반발이 심하였다)
④ 진대법
→ X(진대법은 고구려 고국천왕 때 실시한 빈민 구휼 제도로, 가난한 백성에게 곡식을 빌려주고 추후 갚도록 한 것이다)
정답 ②
7. 다음에서 ㉠에 해당하는 것은?
흥선 대원군, 서양과의 통상 거부 의지를 통해 ㉠이 척화비임을 알 수 있다.
① 규장각
→ X(정조는 자신의 권력과 저액을 뒷받침할 수 있는 정치 기구를 육성하기 위해 규장각을 설치하였다)
② 독립문
→ X(독립 협회는 자주 독립 의지를 널리 알리기 위해 과거 중국 사신을 맞이하던 영은문 자리에 독립문을 세웠다)
③ 척화비
→ O(신미양요 이후 흥선 대원군은 통상 수교 거부 의지를 널리 알리기 위해 전국에 척화비를 건립하였다)
④ 임신서기석
→ X(임신 서기석은 신라 시대에 두 화랑이 나라에 충성하고 유교 경전을 공부하겠다는 맹세를 담아 새긴 비석이다)
정답 ③
8. 다음에서 설명하는 조약은?
최초의 근대적 조약, 불평등 조약을 통해 제시문이 설명하는 조약이 강화도 조약임을 알 수 있다.
① 간도 협약
→ X(대한 제국의 외교권이 박탈된 상황에서 일본은 남만주 철도 부설권을 얻는 대신 간도를 청의 영토로 인정하는 간도 협약을 체결하였다)
② 전주 화약
→ X(동학 농민군이 전라도 일대를 점령하자 조선 정부는 외국 군대의 철수, 폐정 개혁을 조건으로 전주 화약을 체결하였다)
③ 톈진 조약
→ X(갑신정변 이후 청과 일본은 양국 모두 조선에서 철수하고, 이후 조선에 군대를 보낼 경우 상대국에 알린다는 톈진 조약을 체결하였다)
④ 강화도 조약
→ O(강화도 조약은 우리나라가 외국과 맺은 최초의 근대적 조약이면서 불평등 조약이었다)
정답 ④
9. 다음에서 ㉠에 해당하는 문화유산은?
해인사, 목판 인쇄술을 통해 ㉠ 문화유산이 팔만대장경판임을 알 수 있다.
① 석굴암
→ X(석굴암은 통일 신라 시대에 인공으로 만들어진 석굴 사원이다)
② 경국대전
→ X(경국대전은 조선 전기의 기본 법전으로 세조 때 편찬하기 시작하여 성종 때 반포되었다)
③ 무령왕릉
→ X(무령왕릉은 중국의 영향을 받은 벽돌무덤으로, 많은 장신구가 출토되어 백제 미술의 귀족적 특성을 알 수 있다)
④ 팔만대장경판
→ O(고려 시대에 몽골의 침입을 부처의 힘으로 물리치고자 팔만대장경판을 만들었다. 현재까지 합천 해인사에 목판이 모두 보관되어 있다)
정답 ④
10. 다음에서 ㉠에 해당하는 통치 기구는?
을사늑약의 결과를 통해 ㉠ 통치 기구가 통감부임을 알 수 있다.
① 삼별초
→ X(삼별초는 최우가 조직한 군대로 최씨 정권의 사병 역할을 담당하였는데, 몽골 침입기에 고려 조정이 개경으로 돌아가자 몽골에 대한 항쟁을 계속하였다)
② 집현전
→ X(집현전은 조선 세종 때 설치한 학술 연구 기관이었다)
③ 통감부
→ O(을사늑약에 따라 대한 제국의 외교권이 박탈되고 통감부가 설치되었다. 한일 강제 병합 이후 통감부는 총독부로 개편되었다)
④ 화랑도
→ X(화랑도는 신라의 청소년 집단이었는데, 진흥왕 때 국가적인 조직으로 개편되었다)
정답 ③
'고졸 검정고시 한국사 > 2022년 1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고졸 검정고시 1차 한국사_21~25번 (0) | 2023.03.14 |
---|---|
2022년 고졸 검정고시 1차 한국사_16~20번 (0) | 2023.03.14 |
2022년 고졸 검정고시 1차 한국사_11~15번 (0) | 2023.03.14 |
2022년 고졸 검정고시 1차 한국사_1~5번 (0) | 2023.03.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