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졸 검정고시 한국사/2022년 1차

2022년 고졸 검정고시 1차 한국사_6~10번

by 데일리히스토리 2023. 3. 14.
반응형

 

 

 

6. 다음에서 에 해당하는 조선의 제도는?

토지 결수에 따라 쌀로 공납을 거둔다는 것을 통해 이 대동법임을 알 수 있다.

 

골품제

X(골품제는 신라 시대의 신분 제도이다)

 

대동법

O(과중한 공물의 부담과 방납의 폐단을 견디지 못해 몰락하는 농민이 늘자 공물 대신 토지 결수에 따라 쌀, 동전 등으로 납부하게 하는 대동법을 실시하였다)

 

단발령

X(단발령은 을미개혁 때 반포한 것으로, 당시 단발령 실시에 대한 반발이 심하였다)

 

진대법

X(진대법은 고구려 고국천왕 때 실시한 빈민 구휼 제도로, 가난한 백성에게 곡식을 빌려주고 추후 갚도록 한 것이다)

 

정답 ②


7. 다음에서 에 해당하는 것은?

흥선 대원군, 서양과의 통상 거부 의지를 통해 이 척화비임을 알 수 있다.

 

규장각

X(정조는 자신의 권력과 저액을 뒷받침할 수 있는 정치 기구를 육성하기 위해 규장각을 설치하였다)

 

독립문

X(독립 협회는 자주 독립 의지를 널리 알리기 위해 과거 중국 사신을 맞이하던 영은문 자리에 독립문을 세웠다)

 

척화비

O(신미양요 이후 흥선 대원군은 통상 수교 거부 의지를 널리 알리기 위해 전국에 척화비를 건립하였다)

 

임신서기석

X(임신 서기석은 신라 시대에 두 화랑이 나라에 충성하고 유교 경전을 공부하겠다는 맹세를 담아 새긴 비석이다)


정답


8. 다음에서 설명하는 조약은?

최초의 근대적 조약, 불평등 조약을 통해 제시문이 설명하는 조약이 강화도 조약임을 알 수 있다.

 

간도 협약

X(대한 제국의 외교권이 박탈된 상황에서 일본은 남만주 철도 부설권을 얻는 대신 간도를 청의 영토로 인정하는 간도 협약을 체결하였다)

 

전주 화약

X(동학 농민군이 전라도 일대를 점령하자 조선 정부는 외국 군대의 철수, 폐정 개혁을 조건으로 전주 화약을 체결하였다)

 

톈진 조약

X(갑신정변 이후 청과 일본은 양국 모두 조선에서 철수하고, 이후 조선에 군대를 보낼 경우 상대국에 알린다는 톈진 조약을 체결하였다)

 

강화도 조약

O(강화도 조약은 우리나라가 외국과 맺은 최초의 근대적 조약이면서 불평등 조약이었다)

 

정답 ④


9. 다음에서 에 해당하는 문화유산은?

해인사, 목판 인쇄술을 통해 문화유산이 팔만대장경판임을 알 수 있다.

 

석굴암

X(석굴암은 통일 신라 시대에 인공으로 만들어진 석굴 사원이다)

 

경국대전

X(경국대전은 조선 전기의 기본 법전으로 세조 때 편찬하기 시작하여 성종 때 반포되었다)

 

무령왕릉

X(무령왕릉은 중국의 영향을 받은 벽돌무덤으로, 많은 장신구가 출토되어 백제 미술의 귀족적 특성을 알 수 있다)

 

팔만대장경판

O(고려 시대에 몽골의 침입을 부처의 힘으로 물리치고자 팔만대장경판을 만들었다. 현재까지 합천 해인사에 목판이 모두 보관되어 있다)

 

정답 ④


10. 다음에서 에 해당하는 통치 기구는?

을사늑약의 결과를 통해 통치 기구가 통감부임을 알 수 있다.

 

삼별초

X(삼별초는 최우가 조직한 군대로 최씨 정권의 사병 역할을 담당하였는데, 몽골 침입기에 고려 조정이 개경으로 돌아가자 몽골에 대한 항쟁을 계속하였다)

 

집현전

X(집현전은 조선 세종 때 설치한 학술 연구 기관이었다)

 

통감부

O(을사늑약에 따라 대한 제국의 외교권이 박탈되고 통감부가 설치되었다. 한일 강제 병합 이후 통감부는 총독부로 개편되었다)

 

화랑도

X(화랑도는 신라의 청소년 집단이었는데, 진흥왕 때 국가적인 조직으로 개편되었다)

 

정답 ③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