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 밑줄 친 ‘왕’의 재위 기간에 있었던 일로 옳은 것은?

쌍기를 통해 밑줄 친 ‘왕’이 고려 광종임을 알 수 있습니다. 광종은 후주에서 귀화한 쌍기의 건의를 받아들여 과거제를 실시하였습니다.
① 노비안검법을 제정하였다.
→ 광종(광종은 호족 세력을 약화하기 위해 노비안검법을 제정하였습니다)
② 전민변정도감을 설치하였다.
→ 공민왕(전민변정도감을 설치한 대표적인 왕은 공민왕입니다)
③ 토지제도로서 전시과를 시행하였다.
→ 경종(고려의 토지 제도인 전시과는 경종 때 처음 시행되었는데, 이를 시정 전시과라고 합니다)
④ 12목을 설치하고 지방관을 파견하였다.
→ 성종(12목을 설치하고 지방관을 파견한 왕은 성종입니다)
정답은 ①입니다.
7. 다음 글은 어떤 사건이 일어났을 때 발표되었는가?

대학교수단 4·25 선언문을 통해 제시된 글이 4·19 혁명 때 발표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① 4·19 혁명
→ O(4·19 혁명이 일어나자 서울 시내 대학교수들은 이승만 대통령의 퇴진을 요구하는 시국 선언문을 채택하였고, 결국 이승만은 하야하였습니다)
② 5·18 민주화 운동
→ X(신군부가 비상계엄을 전국을 확대하려 하자 광주에서 학생과 시민들이 5·18 민주화 운동을 일으켰습니다)
③ 6·3 시위
→ X(박정희 정부 때 굴욕적인 대일 외교에 반발하여 6·3 시위가 일어났습니다)
④ 6·29 민주화 선언
→ X(6월 민주 항쟁의 결과 대통령 직선제로 개헌하겠다는 6·29 민주화 선언이 발표되었습니다)
정답은 ①입니다.
8. 밑줄 친 ‘이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하남 하사창동의 철조 석가여래 좌상을 통해 밑줄 친 ‘이 시기’가 고려 시대임을 알 수 있습니다. 고려 초기에는 하남 하사창동 철조 석가여래 좌상과 같은 대형 철불이 제작되었습니다.
① 성골 출신의 국왕이 재위하였다.
→ 신라(성골 출신의 국왕이 재위한 것은 신라 시대의 일입니다)
② 지방 세력으로 호족이 존재하였다.
→ 고려(고려 초기에는 지방 세력으로 호족이 존재하였습니다)
③ 풍양 조씨등 특정 가문이 정권을 장악하였다.
→ 조선(풍양 조씨 등 특정 가문이 정권을 장악하는 세도 정치는 조선 말기의 사실입니다)
④ 성리학에 투철한 사림세력이 정국을 주도하였다.
→ 조선(성리학에 투철한 사림 세력이 정국을 주도한 것은 조선 전기의 일입니다)
정답은 ②입니다.
9. 역사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ㄱ. 김부식의 『삼국사기』에는 단군 신화가 수록되어 있다.
→ X(유교적 합리주의 사관에 바탕을 둔 김부식의 『삼국사기』에는 단군 신화가 수록되어 있지 않습니다. 단군 신화가 수록된 대표적인 역사서는 일연의 『삼국유사』입니다)
ㄴ. 이규보의 『동명왕편』은 고구려 계승 의식을 강조하였다.
→ O(이규보의 『동명왕편』은 고구려 시조인 동명왕에 대한 영웅 서사시로, 고구려 계승 의식이 반영되어 있습니다)
ㄷ. 안정복의 『동사강목』은 기사 본말체로 역사를 서술하였다.
→ X(안정복의 『동사강목』은 편년체 통사입니다. 조선 후기에 기사본말체로 서술된 대표적인 역사서는 이긍익의 『연려실기술』입니다)
ㄹ. 유득공의 『발해고』에는 남북국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
→ O(유득공은 『발해고』에서는 통일 신라와 발해가 있었던 시기를 남북국 시대라고 지칭하였습니다)
정답은 ㄴ, ㄹ로, ③입니다.
10. 밑줄 친 ‘나’가 국왕으로 재위하던 기간에 있었던 일은?

탕평책, 균역법, 청계천 준설을 통해 밑줄 친 ‘나’가 조선 영조임을 알 수 있습니다. 영조는 왕권 강화를 위해 탕평책을 실시하였고, 군포 부담을 1필로 줄이는 균역법을 추진하였습니다. 또한 청계천 준설 사업을 하여 홍수 때 범람을 막고자 하였습니다.
① 장용영이 창설되었다.
→ 정조(국왕 친위 부대인 장용영은 정조 때 창설되었습니다)
② 나선정벌이 단행되었다.
→ 효종(청의 러시아 정벌인 나선 정벌에 군대를 파견한 왕은 효종입니다)
③ 홍경래의 난이 발생하였다.
→ 순조(홍경래의 난이 발생한 것은 순조 때의 일입니다)
④ 『동국문헌비고』가 편찬되었다.
→ 영조(영조 때 일종의 한국학 백과사전인 『동국문헌비고』가 편찬되었습니다)
정답은 ④입니다.
'지방직 한국사 > 2022'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지방직 9급 공무원 한국사('A'책형)_16~20번 풀이 (0) | 2023.01.10 |
---|---|
2022년 지방직 9급 공무원 한국사('A'책형)_11~15번 풀이 (0) | 2023.01.10 |
2022년 지방직 9급 공무원 한국사('A'책형)_1~5번 풀이 (0) | 2023.01.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