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 (가)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고려 사람, 거란에 의해 처형되었다는 것을 통해 (가) 인물이 강조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사실 제시문이 생소한 것이라 제시문만 보고 강조라는 것을 알기란 어렵습니다. 이럴 때에는 선택지를 파악한 후 소거법으로 문제를 풀면 됩니다. 일단 거란군에 의해 처형되었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다음 선택지를 살펴보겠습니다.
① 묘청의 난을 진압하였다.
→ 김부식(묘청의 난을 진압한 인물은 김부식입니다. 김부식은 거란의 3차례 침입 이후에 활약한 인물이므로 거란에 의해 처형될 수 없습니다)
② 별무반의 편성을 건의하였다.
→ 윤관(별무반 편성을 건의한 인물은 윤관입니다. 윤관이 별무반을 편성한 것은 여진에 대항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거란의 침입 이후의 일입니다)
③ 목종을 폐위하고 현종을 옹립하였다.
→ 강조(강조는 김치양의 반역을 들어 목종을 폐위하고 현종을 옹립하였습니다. 이를 구실로 거란이 제2차 침입을 단행하였습니다)
④ 거란과 협상하여 강동 6주 지역을 고려 영토로 확보하였다.
→ 서희(거란과 협상하여 강동 6주 지역을 고려 영토로 확보한 인물은 서희입니다. 서희가 비록 거란 침입기의 인물이나 그는 제1차 침입 때 외교 담판으로 전쟁을 종결지었습니다. 그러므로 거란에 의해 처형당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정답은 ③입니다.
17. 밑줄 친 ‘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성학집요』를 통해 밑줄 친 ‘저’가 이이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이는 현명한 신하가 군주에가 성학을 가르쳐야 한다고 보아 『성학집요』를 지었습니다.
① 예안향약을 만들었다.
→ 이황(예안 향약을 만든 인물은 이황입니다)
② 『동호문답』을 저술하였다.
→ 이이(왕도 정치의 이상을 문답 형식으로 저술한 『동호문답』은 이이의 저서입니다)
③ 백운동서원을 건립하였다.
→ 주세붕(우리나라 최초의 서원인 백운동 서원을 건립한 인물은 주세붕입니다)
④ 왕자의 난 때 죽임을 당했다.
→ 정도전(왕자의 난 때 죽임을 당한 대표적인 인물은 정도전입니다)
정답은 ②입니다.
18. 밑줄 친 ‘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한국의 의병, 만국공법에 의해 처단되어야 한다라는 것을 통해 밑줄 친 ‘나’가 안중근임을 알 수 있습니다. 만주 하얼빈역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한 안중근은 본인을 한국의 의병이며, 자신의 행위를 만국공법에 의해 처리할 것을 주장하였습니다.
ㄱ. 일본에서 순국하였다.
→ X(안중근은 중국의 뤼순 감옥에서 순국하였습니다)
ㄴ. 한인 애국단 소속이었다.
→ X(한인 애국단은 안중근 사후에 조직되었습니다)
ㄷ. 『동양평화론』을 집필하였다.
→ O(안중근은 서양 세력에 맞서 한중일 3국이 각각 독립을 유지하며 서로 도와야 한다는 내용의 『동양평화론』을 집필하였습니다)
ㄹ. 연해주에서 의병 투쟁을 전개하였다.
→ O(안중근은 연해주로 건너가 최재형의 후원을 받고 의병 부대를 편성하였습니다)
정답은 ㄷ, ㄹ로, ④입니다.
19. 다음 조항을 포함한 법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일본 정부와 통한 자는 사형 등에 처한다는 것을 통해 제시된 법률이 반민족 행위 처벌법임을 알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일제 잔재를 청산하고 사회 정의를 바로잡기 위해 반민족 행위 처벌법이 제정되었습니다.
① 이 법률은 제헌국회에서 제정되었다.
→ O(반민족 행위 처벌법은 제헌 국회에서 제정되었습니다)
② 이 법률은 농지개혁법이 제정된 후 제정되었다.
→ X(농지 개혁법은 1949년 6월에 제정되었고, 반민족 행위 처벌법은 1948년 9월에 제정되었습니다)
③ 이 법률에 의해 반민특위와 특별 재판부가 구성되었다.
→ O(반민족 행위 처벌법에 따라 특별 조사 위원회, 특별 재판부 등이 설치되어 독자적인 조사권, 사법권을 행사하였습니0
④ 이 법률에 의해 친일 경력을 지닌 고위 경찰 간부가 체포되었다.
→ O(반민족 행위 특별 조사 위원회의 조사 결과 친일 경력을 지닌 고위 경찰 간부가 체포되었습니다. 이에 반발하여 반민특위 습격 사건이 발생하였습니다)
정답은 ②입니다.
20. 다음 글은 (가)의 부탁을 받고 (나)가 지은 것이다. (가)와 (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제시문은 조선 혁명 선언으로 의열단의 (가) 김원봉이 (나) 신채호에게 작성을 요청한 것입니다. 조선 혁명 선언은 의열단의 지침서로, 무정부주의를 바탕으로 민중의 직접 혁명을 통한 독립을 주장하였습니다.
① (가)는 조선 의용대를 결성하였고, (나)는 ‘국혼’을 강조하였다.
→ X((가) 김원봉이이 조선 의용대를 결성한 것은 맞지만 ‘국혼’을 강조한 인물은 박은식입니다)
② (가)는 신흥 무관 학교를 세웠고, (나)는 형평사를 창립하였다.
→ X(신흥 무관 학교는 신민회 인사들이 세웠고, 형평사는 진주에서 이학찬이 창립하였습니다)
③ (가)는 조선 건국 동맹을 조직하였고, (나)는 식민 사학의 한국사 정체성론을 반박하였다.
→ X(조선 건국 동맹을 조직한 인물은 여운형이고, 식민 사학의 한국사 정체성론을 반박한 인물은 백남운입니다)
④ (가)는 황포 군관 학교에서 훈련받았고, (나)는 민족주의 역사 서술의 기본 틀을 제시하였다.
→ O((가) 김원봉을 비롯한 의열단원들은 황포 군관 학교에서 훈련받았고, (나) 신채호는 근대 민족주의 사학의 기틀을 마련하였습니다)
정답은 ④입니다.
'지방직 한국사 > 2022'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지방직 9급 공무원 한국사('A'책형)_11~15번 풀이 (0) | 2023.01.10 |
---|---|
2022년 지방직 9급 공무원 한국사('A'책형)_6~10번 풀이 (0) | 2023.01.10 |
2022년 지방직 9급 공무원 한국사('A'책형)_1~5번 풀이 (0) | 2023.01.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