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다음에서 설명하는 유물은?
구석기 시대를 대표하는 뗀석기는 주먹도끼이다.
① 주먹도끼
→ O(구석기 시대에는 돌을 떼어 만든 뗀석기를 사용하였는데, 대표적으로 사냥 도구로 쓰인 주먹도끼가 있다)
② 이불병좌상
→ X(이불병좌상은 발해의 문화유산으로, 두 부처가 나란히 앉아 있는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③ 비파형 동검
→ X(비파형 동검은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유물이다)
④ 빗살무늬 토기
→ X(빗살무늬 토기는 신석기 시대의 대표적인 유물이다)
정답 ①
2. 다음에서 설명하는 왕은?
영락 연호를 통해 제시문이 설명하는 왕이 고구려 광개토 대왕임을 알 수 있다.
① 세종
→ X(세종은 조선 시대의 왕으로, 훈민정음을 창제하였다)
② 고이왕
→ X(고이왕은 백제의 왕으로, 백제 초기 제도 정비에 기여하였다)
③ 공민왕
→ X(공민왕은 고려의 왕으로, 반원 자주 정책을 실시하였다)
④ 광개토 대왕
→ O(광개토 대왕은 우리나라 최초로 영락이라는 연호를 사용하였다)
정답 ④
3. 다음에서 설명하는 기구는?
식목도감, 도평의사사를 통해 제시문이 설명하는 기구가 도병마사임을 알 수 있다.
① 집사부
→ X(집사부는 신라 시대에 국가 기밀을 관장하는 기구였다)
② 정당성
→ X(정당성은 발해의 3성 6부 중 최고 기구였다)
③ 도병마사
→ O(도병마사, 식목도감은 고려의 독자적인 기구로, 이중 도병마사에서는 국방과 관련된 일을 논의하였다. 이후 도병마사는 도평의사사로 개편되었다)
④ 군국기무처
→ X(동학 농민 운동 이후 일본은 군국기무처를 설치하고 내정 개혁을 강요하였다)
정답 ③
4. 다음에서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① 경국대전 반포
→ O(경국대전은 조선의 기본 법전으로, 세조 때 편찬하기 시작하였고, 성종 때 반포하였다)
② 기인 제도 실시
→ X(고려 태조 왕건은 지방 향리의 자제를 기인으로 삼아 일종의 인질로 수도에 데려 오는 기인 제도를 실시하였다)
③ 삼청 교육대 운영
→ X(신군부 세력은 사회정화를 명분으로로 삼청 교육대를 운영하였다)
④ 전민변정도감 설치
→ X(고려 후기에 권문세족의 세력을 약화하기 위해 전민변정도감을 설치하였는데, 대표적으로 공민왕이 있다)
정답 ①
5. 다음에서 설명하는 문화유산은?
불국사와 함께 통일 신라 시기의 대표적 건축물은 경주 석굴암이다.
① 경복궁
→ X(경복궁은 조선의 정궁으로 태조 때 건설되었다)
② 무령왕릉
→ X(백제 무령왕릉은 중국 남조의 영향을 받은 벽돌무덤 형태로 축조되었다)
③ 수원 화성
→ X(수원 화성은 조선 정조가 자신의 정치적 이상을 실현할 계획 도시로 축조하였다)
④ 경주 석굴암
→ O(경주 석굴암은 인조 석굴 사원으로, 통일 신라 경덕왕 때 불국사 함께 축조되었다)
정답 ④
'고졸 검정고시 한국사 > 2022년 2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고졸 검정고시 2차 한국사_21~25번 (0) | 2023.03.10 |
---|---|
2022년 고졸 검정고시 2차 한국사_16~20번 (0) | 2023.03.10 |
2022년 고졸 검정고시 2차 한국사_11~15번 (0) | 2023.03.10 |
2022년 고졸 검정고시 2차 한국사_6~10번 (0) | 2023.03.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