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졸 검정고시 한국사/2022년 2차

2022년 고졸 검정고시 2차 한국사_11~15번

by 데일리히스토리 2023. 3. 10.
반응형

 

 

 

11. 다음 질문에 대한 답으로 옳은 것은?

대한 제국의 빚을 갚기 위해 서상돈 등이 대구에서 시작한 것은 국채 보상 운동이다.

 

① 새마을 운동

→ X(새마을 운동은 박정희 정부 때 농촌 근대화를 위해 실시한 것이다)

 

② 위정척사 운동

→ X(위정척사 운동은 정부의 개화 정책에 반발하여 성리학 질서를 지키기 위해 유생들이 전개한 것이다)

 

③ 국채 보상 운동

→ O(일본은 대한 제국을 경제적으로 예속하기 위해 차관 도입을 강요하였고, 그 결과 대한 제국은 막대한 빚을 지게 되었다. 이에 대구에서 서상돈 등이 국민의 힘으로 국채를 갚자는 국채 보상 운동을 시작하였다)

 

④ 서경 천도 운동

→ X(고려 시대 묘청은 서경 천도를 주장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난을 일으켰다)

 

정답 ③


12. 다음에서 ㉠ 시기에 들어갈 사건은?

8·15 광복 이후 정부 수립을 위한 5·10 총선거가 실시되었다.

 

① 기묘사화

→ X(조선 중종 때 조광조 등 사림의 개혁 정책에 반발하여 훈구가 사림을 공격한 기묘사화가 일어났다)

 

② 5·10 총선거

→ O(5·10 총선거는 우리나라 최초의 보통 선거였다)

 

③ 오페르트 도굴 사건

→ X(독일 상인 오페르트가 조선에 통상을 요구하기 위해 흥선 대원군의 아버지인 남연군 묘의 도굴을 시도했다가 실패하였다)

 

④ 6·15 남북 공동 선언 발표

→ X(김대중 정부 때 평양에서 분단 이후 최초로 남북 정상 회담을 개최하고 6·15 남북 공동 선언을 발표하였다)

 

정답 ②


13. 다음에서 설명하는 일제 식민 정책은?

1910년대 일제가 시행한 경제 정책, 토지를 통해 제시문이 설명하는 일제 식민 정책이 토지 조사 사업임을 알 수 있다.

 

① 균역법

→ X(조선 영조는 군포 부담을 2필에서 1필로 줄이는 균역법을 실시하였다)

 

② 노비안검법

→ X(고려 광종은 호족의 세력을 약화하기 위해 억울하게 노비가 된 이들을 양인으로 해방하는 노비안검법을 실시하였다)

 

③ 토지 조사 사업

→ O(일제는 조선 총독부의 지세 수입을 확대하고 토지를 수탈하기 위해 토지 조사 사업을 실시하였다)

 

④ 경부 고속 국도 개통

→ X(박정희 정부는 제1·2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중에 경부 고속도로를 개통하여 사회 간접 자본을 확충하였다)

 

정답 ③


14. 다음 대화 내용에 해당하는 단체는?

광주 학생 항일 운동에 진상 조사단 파견을 통해 제시된 대화에 해당하는 단체가 신간회임을 알 수 있다.

 

① 삼별초

→ X(삼별초는 최씨 정권의 사병 역할을 한 부대인데, 무신 정권이 무너지고 고려 조정이 개경으로 환도한 이후에도 대몽 항쟁을 계속하였다)

 

② 신간회

→ O(민족 유일당 운동의 결과 조직된 신간회는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을 민족적 운동으로 확산하기 위해 진상 조사단을 파견하였다)

 

③ 통신사

→ X(임진왜란 이후 일본에 파견된 통신사는 문화사절단 역할을 하였다)

 

④ 화랑도

→ X(신라 시대 청소년 단체였던 화랑도는 진흥왕 때 국가적인 조직으로 개편되었다)

 

정답 ②


15. 다음에서 설명하는 사건은?

일제 강점기 최대 민족 운동,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에 영향을 통해 제시문에서 설명하는 사건이 3·1 운동임을 알 수 있다.

 

① 3·1 운동

→ O(3·1 운동은 일제 강점기에 일어난 최대 민족 운동으로 궁극적인 목적인 독립을 이루지는 못했지만 이후 일본의 통치 방식, 독립운동 방향 등에 영향을 미쳤다. 3·1 운동 이후 독립운동의 구심점이 필요해졌고, 이에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수립되었다)

 

② 제주 4·3 사건

→ X(제주도에서 미군 철수, 남한 단독 선거에 반대하며 시위가 일어났는데, 이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무고한 제주도민이 많이 희생되었다)

 

③ 임술 농민 봉기

→ X(세도 정치기 삼정의 문란 등으로 살기 어려워진 농민들이 봉기를 일으켰다)

 

④ 12·12 군사 반란

→ X(10·26 사태 이후 혼란스러운 상황에 전두환 등 신군부 세력이 12·12 군사 반란을 일으켜 권력을 잡았다)


정답 ①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