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봉사 10조를 통해 (가) 인물이 최충헌임을 알 수 있다. 최충헌은 무신 정권 초기의 혼란을 극복하기 위해 봉사 10조를 발표하였다.
① 도방을 두어 신변을 경호하였다.
→ O(도방은 경대승이 처음 설치하였는데, 최충헌도 도방을 두어 신변을 경호하였다)
② 교정도감을 설치하여 권력을 행사하였다.
→ O(최충헌은 모든 국정을 관장하는 최고 권력 기구로 교정도감을 설치하였다)
③ 정방을 설치하고 관리의 인사를 처리하였다.
→ X(인사 행정 기구인 정방은 최우 때 설치되었다)
④ 농민항쟁을 적극 진압하였다.
→ O(무신 정권 초기에는 여러 농민 항쟁이 일어났는데, 최충헌은 이를 강력하게 진압하면서 정권을 유지하였다)
⑤ 막강한 권력을 갖고 왕의 폐립도 자행하였다.
→ O(최충헌은 명종을 폐하고 신종, 희종, 강종, 고종을 차례로 옹립하였다)
정답 ③
12. 다음 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마가, 우가, 저가, 구가를 통해 제시된 국가가 부여임을 알 수 있다. 부여에서는 왕 아래에 마가, 우가, 저가, 구가 등의 여러 가들이 있었고, 이들이 사출도라는 행정 구획을 통치하였다.
① 서옥제의 풍습이 있었다.
→ 고구려(서옥제는 고구려의 혼인 풍습이다)
② 민며느리제의 풍속이 있었다.
→ 옥저(민며느리제는 옥저의 혼인 풍습이다)
③ 도둑질하면 12배를 배상하게 하였다.
→ 부여(부여에서는 1책 12법이라고 하여 도둑질을 하면 12배를 배상하게 하였다)
④ 신지, 읍차 등의 지배자가 다스렸다.
→ 삼한(신지, 읍차 등의 지배자가 다스린 국가는 삼한이다)
⑤ 다른 읍락 영역을 침범하면 배상금을 내는 책화제도가 있었다.
→ 동예(책화는 동예의 풍습이다)
정답 ③
13. 다음과 같은 상황이 나타난 시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거란이 보낸 낙타를 만부교 아래 매어 두어 굶어 죽게 했다는 것을 통해 제시된 상황이 고려 태조 왕건 때의 만부교 사건임을 알 수 있다. 태조 왕건은 대거란 강경책을 실시하였는데, 이를 보여 주는 대표적인 것이 만부교 사건이다.
ㄱ. 사심관 제도를 실시하였다.
→ O(태조 왕건은 호족을 견제하기 위해 중앙 고관을 자기 출신지의 사심관으로 삼는 사심관 제도를 실시하였ㄷ)
ㄴ. 장학재단인 학보를 설치하였다.
→ O(태조 왕건은 서경에 장학 재단인 학보를 설치하였다)
ㄷ. 역사서인 『국사』를 편찬하였다.
→ X(거칠부를 시켜 역사서인 『국사』를 편찬하게 한 왕은 신라 진흥왕이다)
ㄹ. 흥법사지 염거화상탑을 건립하였다.
→ X(흥법사지 염거화상탑은 통일 신라 시대에 건립되었다)
정답 ①
14. 조선시대의 법전과 법률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성종은 기본 법전인 『경국대전』을 완성하여 반포하였다.
→ O(세조 때 만들기 시작한 『경국대전』은 성종 때 반포되었다)
② 의금부는 왕명을 받아 중죄인을 심문하는 사법기관이었다.
→ O(의금부는 국왕 직속의 사법 기관으로 왕권 안위와 관련된 중죄를 처결하였다)
③ 지방에서 관찰사와 수령은 관할 구역의 사법권을 가졌다.
→ O(조선 시대의 관찰사, 수령은 지방의 행정권, 사법권 등을 행사하였다)
④ 백성은 상언·격쟁을 통하여 왕에게 억울함을 호소할 수 있었다.
→ O(영조는 일반 백성이 상언, 격쟁을 활성화하여 왕에게 억울함을 호소할 수 있도록 하였다)
⑤ 고종 때 통치 규범을 재정리하여 『대전통편』을 편찬하였다.
→ X(『대전통편』은 정조 때 편찬되었다. 고종 때에는 『대전회통』이 편찬되었다)
정답 ⑤
15. 다음 자료와 관계가 깊은 정책을 추진한 배경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황구첨정을 통해 제시된 자료와 관계가 깊은 정책이 균역법임을 알 수 있다. 황구첨정의 군역의 문란 중 하나로 16세 이하 어린이에게 징세하는 것이었다. 영조는 군역의 문란을 시정하고자 균역법을 실시하였다.
① 직전법의 시행으로 농민들의 부담이 늘어났다.
→ X(세조 때 현직 관리만 대상으로 하는 직전법을 실시하였다)
② 호포제가 실시되었지만 백성의 부담은 줄지 않았다.
→ X(호포제는 고종 때 흥선 대원군이 실시한 것으로, 신분에 관계 없이 집집마다 군포를 납부하도록 한 것이다)
③ 속오군제 실시로 양반이 군역을 면제 받았다.
→ X(속오군은 양반부터 노비까지 전 계층을 포함하여 구성한 군대이다)
④ 감영과 병영이 독자적으로 군포를 거두면서 군포 부담이 증가하였다.
→ O(감영과 병영이 독자적으로 군포를 거두면서 군포 부담이 증가하자 영조는 군포 납부를 2필에서 1필로 줄이는 균역법을 실시하였다)
⑤ 공물을 서리, 상인 등이 대납하고 더 많은 대가를 농민에게 요구하였다.
→ X(공물을 서리, 상인 등이 대납하고 더 많은 대가를 농민에게 요구하자 이를 시정하기 위해 대동법을 실시하였다)
정답 ④
'국회직 한국사 > 2021'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국회직 9급 한국사 해설_16~20번 (0) | 2023.03.04 |
---|---|
2021년 국회직 9급 한국사 해설_6~10번 (0) | 2023.03.04 |
2021년 국회직 9급 한국사 해설_1~5번 (0) | 2023.03.04 |
댓글